AI FESTA SPEAKERS
-
VIEW
- 코너스톤온디맨드
- 박동준
시니어 솔루션 컨설턴트
- 강연 제목
- AI시대를 준비하는 HR의 전략 – 4B Strategy, Build Buy Borrow Bot
- 이력 및 약력
-
미국 위스콘신 주립대학교 정치외교 학사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의원실 정책비서
공공 분야 전략 및 IT 컨설턴트
HR IoT 스타트업 전략기획 매니저
코너스톤온디맨드 코리아 솔루션 컨설턴트
- 소개
-
박동준 매니저는 IT 및 SaaS 산업 전반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아온 전문가로,
클라우드, 데이터, 그리고 인재 전략 분야에서 조직의 성장을 이끄는 데 주력해왔습니다.
다양한 글로벌 무대에서 활동하며 기술과 비즈니스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수행해왔으며,
기업들이 HR 디지털 혁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면하고 있는 AI시대를 위해 스킬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HR 전략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AI시대를 준비하는 HR의 전략 – 4B Strategy, Build Buy Borrow Bot
• 생성형 AI를 포함 다양한 기술, 그리고 정치경제사회적 환경이 변화하면서 HR은 조직과 기업이 미래를 보장할 수 있는 역할을 고민해야 함
• 이러한 준비과정에 일환으로 스킬기반으로 전환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있으며,
EU/캐나다/사우디 등 다양한 국가에서도 ‘역량’이 아닌 스킬을중심으로 전환 중
• 이 중심에는 4B 전략이 핵심이며, 이는
Build – 조직내부에서 리/업스킬링을 통해 미래 스킬갭을 대비
Buy – 조직에 부족한 스킬을 외부에서 수급하여 기업활동의 필요한 스킬을 빠르게 확보
Borrow – TF 조직 등 유연한 조직구조가 각광받으며 직원들의 스킬을 이해하고, 이를 사내에서 공유
Bot – AI로 대체가 가능한 ‘반복적 업무’ 혹은 난이도가 낮은 스킬을 파악하여 생산성 확장
- AIReady Conference
- 박동준
-
소속: 코너스톤온디맨드직책: 시니어 솔루션 컨설턴트
-
VIEW
- 머서코리아 Consulting Service
- 김지수
상무
- 강연 제목
- AI가 바꾸는 HR 패러다임과 조직 관리의 미래
- 이력 및 약력
-
삼성전자 DS사업부, 인사전문가 과정(‘25년)
SK그룹, Global HR Trend 강의 (‘24년)
고용노동부 공감채용 가이드라인 매뉴얼(‘22년), 공동 저자
前, FMA Business Consulting, 선임 Consultant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졸업
- 소개
-
김지수 상무는 현재 MERCER Korea 컨설팅 부문에서 10년 이상 재직 중이며, 약 14년의 HR 컨설팅 경력 보유
국내 그룹사 및 주요 중견그룹의 임원 및 직원 HR 부문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으며,
특히 글로벌 HR 분야에 다양한 경험 및 인재 확보/유지 방안 관련 프로젝트 경험 다수 보유
특히, 카카오, LG에너지솔루션, 현대트랜시스, GC녹십자 등 다양한 산업의 기업 CEO 대상 설명회 진행 및 SK하이닉스 GHR, 현대자동차그룹 임원 변화관리, KB금융그룹 전략 세미나 등 임원 대상의 강의 경험 보유
- 강연 요약
-
1. 최근 GHR Mega Trend 분석
AI로 인한 조직/인력 관리 변화 방향
구성원 인식 변화
2. AI 기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업들의 노력
구성원 인식하는 몰입 저해 요소
업무 생산성 효율화 방안
3. AI 전문성 강화를 위한 스킬 기반 인사 운영 방향
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Up/Re-skilling
직무 기반 HR에서 고도화된 스킬 기반 HR
- AIReady Conference
- 김지수
-
소속: 머서코리아 Consulting Service직책: 상무
-
VIEW
- 주식회사 에이블런
- 박진아
CEO
- 강연 제목
- “우리 조직은 왜 달라지지 않았나?” AI 교육, 성과 없는 이유와 변화를 만드는 전략
- 이력 및 약력
-
주식회사 에이블런 대표이사
한양대학교 기술경영(MOT) 박사
에이블런 비전공자 대상 AI/DS 교육 기획 및 개발(R&D)
행안부 국민디자인단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 프로젝트 장관상 수상
과기부 SW전문인력양성기관 지정사업 총괄(IITP)
산자부 산업 디지털전환 기업 DX교육 부문 유공 표창 수상
중기부 중소기업 모범기업인 부문 유공 표창 수상
저서 <데이터 드리븐 디자인씽킹> 위키북스, 2023
저서 <실무에 바로 쓰는 일잘러의 엑셀 데이터 분석> 제이펍, 2022
- 소개
-
비전공자 대상 AI/DX 교육 사업을 총괄하며, 400개 이상의 조직을 대상으로 핵심 교육과정 설계와 성과를 입증해왔습니다.
기술 경영 전문가로서, 데이터 기반 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통해 행정안정부 표창을 수상하고 기업 디지털 전환 실적을 통해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까지 정부 부처 장관 표창을 연이어 수상했습니다.
대표 저서로는 《데이터 드리븐 디자인씽킹》, 《일잘러의 엑셀 데이터 분석》이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많은 기업들이 단기 기능 중심의 AI 교육을 도입하지만, 실제로는 성과 측정도 어렵고 지속 효과도 제한적입니다.
이번 강연에서는 왜 전사 차원의 AI 리터러시 교육이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교육에서 배운 내용을 어떻게 실무 현장으로 연결할 수 있는지 실제 사례와 함께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AI 교육을 성과로 만들고, 나아가 전사 AX로 이어갈 수 있는 해답을 제시합니다.
AI 교육은 받았는데, 왜 달라지지 않나요?
기능 위주의 단발성 교육은 호기심은 채워주지만 조직의 변화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실제 기업 사례를 통해 왜 전사 AI 리터러시가 선행되어야 하는지와 이것이 어떻게 ROI 측정까지 연결되는지를 확인합니다
- AIReady Conference
- 박진아
-
소속: 주식회사 에이블런직책: CEO
-
VIEW
- (주)사람인
- 김정길
AI LAB 실장
- 강연 제목
- 미래 인재를 위한 기술의 역할
- 이력 및 약력
-
•명지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졸업
•(주)코난테크놀로지근무 (2006.03~2015.07)
- 기술서비스팀, 고객지원팀, SA사업부 , 검색 컨설턴트
•(주)사람인근무 (2015.07~재직중)
- 현) AI LAB 실장.(AI팀, 빅데이터팀)
- 전) 사람인LAB 매칭기술팀팀장.
- 전) 사람인LAB 검색플랫폼팀팀장.
- 소개
- “Beyond 채용, AI로 여는 채용 시장의 미래"
- 강연 요약
-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HR 서비스는 어떻게 진화해가고 있는가?
구직자 및 구인사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AI는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가?
- AIReady Conference
- 김정길
-
소속: (주)사람인직책: AI LAB 실장
-
VIEW
- 조직의단맛 / 서강대학교
- 백서현
대표 / 특임교수
- 강연 제목
- HR Tech 시대, 데이터로 읽는 조직문화 혁신
- 이력 및 약력
-
서강대 경영대학 특임교수
연세대 미래교육원 ‘조직문화전문가과정’ 책임강사
저서 <오징어게임으로 본 인간과 조직이야기> 대기업/공기업/중소기업 등 16년 실무자
경영학 박사 / 교육학 석사 / 공학사
- 소개
-
- 공대생의 피에 인간과 조직의 이해를 얹은 조직문화
- 실무자이자 교육자
- 강연 요약
-
- 조직문화와 직원경험, 그리고 혁신
- 조직문화에 데이터가 필요한 이유
- 이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 데이터로 ‘조직문화’를 읽는 방법
- HR Tech Leaders Day1
- 백서현
-
소속: 조직의단맛 / 서강대학교직책: 대표 / 특임교수
-
VIEW
- 더인터널브랜딩랩
- 최지훈
대표
- 강연 제목
- 조직 엔트로피 현상과 시스템 패러다임
- 이력 및 약력
-
-前) 하이브, 네이버, 메드트로닉, 올림푸스한국
인재육성 및 조직개발 리드
-『더시너지, 자기다움에서 우리다움으로』,
『그래서, 인터널브랜딩』 저자
- 소개
- 조직개발 스페셜리스트/작가
- 강연 요약
-
요즘 시대 '일 잘함'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일을 잘하는데 방해가 되는 문화는 무엇이고, 이를 뛰어 넘어
조직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일 잘하는 문화’는 어떻게 구축할 수 있을지 그 방법과 통찰을 제시합니다.
- HR Tech Leaders Day1
- 최지훈
-
소속: 더인터널브랜딩랩직책: 대표
-
VIEW
- 콜마홀딩스
- 이홍석
팀장(부장)
- 강연 제목
- AI 시대의 HR의 역할
- 이력 및 약력
-
현) 콜마홀딩스 AI TF / 인재개발팀 팀장
전) HK이노엔, 한국콜마 인재개발팀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엔지비 기술교육팀
한국생산성본부 이러닝센터
- 소개
-
'사람의 성장 가능성'을 믿는 HRD 18년차 입니다.
현재는 HRD와 AI TF조직을 리드하며 조직의 AI Agent 개발과 AX(Agent Transformation)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Gen AI가 조직에 미치는 혁신적 변화를 연구하고 실무에 적용하는데 많은 관심이있습니다.
성인교육 이론부터 생성형 AI까지 다학제적 접근을 선호하며 ,
다양한 경험과 지속적인 학습으로 AI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HRD 패러다임을 만들어가고 싶습니다.
- 강연 요약
-
AI Transformation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조직 운영 방식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변화입니다.
이러한 변화에서 HR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AI 플랫폼 도입 초기부터 IT 부서와의 긴밀한 협업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어서 조직 전반의 AI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현업에 AI를 적용하는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것까지 HR이 주도적으로 이끌어가야 합니다.
현재는 대부분의 업무를 사람이 담당하고 있지만, 근미래에는 AI와 사람의 업무 영역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조직 맞춤형 AI Agent를 개발하고 성능을 개선해 나가는 일은 상당한 도전 과제입니다.
복잡한 업무 프로세스를 AI가 이해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정제하고,
반복적인 테스트와 학습을 통해 정확도를 높여가는 과정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기대했던 성과가 즉시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하지만 AI 시대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기 때문에,
작은 성과부터 차근차근 쌓아가며 꾸준히 추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HR은 이러한 여정에서 AI와 인간이 어떻게 협업할지에 대한 청사진을 그려야 하며,
이것이 바로 진정한 의미의 AI Transformation입니다.
AI 시대에 성공하는 조직은 단순히 최신 기술을 도입하는 조직이 아닌,
기술과 인간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문화와 시스템을 갖춘 조직일 것 입니다.
이 모든 변화의 중심에 HR 담당자들이 있어야 합니다.
- HR Tech Leaders Day1
- 이홍석
-
소속: 콜마홀딩스직책: 팀장(부장)
-
VIEW
- 갤럭스
- 석차옥
대표이사
- 강연 제목
- AI, 생체 분자의 이해에서 치료제 설계까지
- 이력 및 약력
-
◾1999.01~1999.12 시카고대학교 화학부 박사후연구원
◾2000.01~2000.05 MIT화학과 박사후연구원
◾2000.06~2004.07 USCF약학화학과 박사후연구원
◾2008.04~2010.03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겸직교수
◾2004.08~현재 서울대학교 화학부 교수
◾2025.07~현재 한국과학AI포럼 대표의장
◾2020.09~현재 ㈜갤럭스 대표이사
- 소개
- 석차옥은 서울대학교 화학부에서 단백질 구조 예측 및 분자 설계 분야의 독창적 방법론을 개척하며 세계적 권위자로 자리매김하였다. 2020년 제자들과 함께 AI 신약개발 기업 갤럭스(Galux)를 공동 창업하여 학문적 성과를 산업적 혁신으로 확장하고 있다. 갤럭스는 자체 개발한 AI 단백질 설계 플랫폼 GaluxDesign을 통해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신약개발 프로그램을 선도하고 있다. 아울러 그는 한국과학AI포럼(KSAIF)을 주도하며, 과학AI를 국가 전략기술로 확립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생태계 조성을 위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 강연 요약
- AI는 과학 발전의 역사 속에서 심화되고 세분화되어 온 학문을 다시 통합하며, 과학을 단순한 도구 지향적 활동이 아닌 목적 지향적 탐구로 전환시켜 학문과 산업 전반에 새로운 도약을 이끌고 있다. 생명과학과 바이오산업은 이러한 AI 전환의 최전선에 있다. DNA 구조 규명, 게놈 프로젝트, 크리스퍼 기술 등 20세기의 성과를 토대로, 21세기에는 단백질 구조예측 및 설계 AI가 등장하여 정밀하고 효율적인 신약 개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인공지능의 4하 원칙을 바탕으로, AI가 단백질 구조를 '이해'하고 새로운 분자를 '설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바이오 튜링 테스트 개념을 소개한다. 더불어 CAR-T, 항체치료제, ADC와 같은 차세대 치료제 개발에서 정밀 타겟팅의 필요성과 이를 뒷받침하는 AI의 역할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학문, 산업, 공공 영역이 함께 참여하는 바이오AI 생태계와 계층별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과학AI가 국가 전략기술로 자리매김하고 글로벌 바이오산업 혁신을 견인할 수 있음을 전망한다.
- Digital Healthcare Forum
- 석차옥
-
소속: 갤럭스직책: 대표이사
-
VIEW
- 더블유닷에이아이
- 김재홍
대표
- 강연 제목
- 의료영상 (X-ray, 초음파) 기반 인공 유방 보형물 진단 AI 솔루션 개발
- 이력 및 약력
- 현, 더더블유의원 & 더블유닷에이아이 대표
- 소개
- 의료영상 (X-ray, 초음파) 기반 인공 유방 보형물 진단 AI 솔루션 개발
- 강연 요약
-
당사 더블유닷에이아이는 초음파와 X-ray 이미지를 이용하여 여성암 1위 유방암검진과 전세계 여성성형 수술 1위인 가슴 성형수술 시장이교차하는 유방보형물 검진이라는 “미충족 수요’가 발생하는 Vertical Market을 개척하고 있는 세계 최초 유방보형물 관련 AI 솔루션 “W Expert” 개발 업체입니다.
먼저, 초음파 이미지 기반 AI 솔루션인 “W Expert” 를 국내 다기관 임상시험하여 95% 정확도 검증을 통해 식약처 허가를 앞두고 있고, 동시에 유방검진 Screening test로 널리 쓰이는 Mammogram 이미지를 이용한 파열 진단AI 솔루션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자사 유방보형물 타입 구별 및 부작용진단 AI 솔루션 “W Expert” 는 130만장이상의 전세계 주요 보형물 초음파 이미지 Dataset이 학습데이터로 사용되고, 이를 통해 파열과 구형구축 같은재수술이 필요한 중대한 부작용 탐지 알고리듬들이 탑재되었습니다.
자사 솔루션 ‘W Expert’의 진정한 가치는 95%가 넘는 정확도 뿐만아니라, 부작용 유무에 따라 진료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Triage기능,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제시하고, 분석결과를 출력하는 기능,필요 시 관련 전문의와 협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실제임상현장에서 필요로 하고 있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또한 보형물 파열 위험 예측도도 제공하며 RWEaaS (Real-World Evidence as a Service) AI 솔루션으로 진단 AI가 갖춰야 할 서비스 뿐만아니라 자사만의 특별한서비스가 결합되어 국.내외 시장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W Expert’ 는 단순히 진단 알고리듬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의사와 환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가치“ 기반의 기술로써, 이는 ㈜더블유닷에이아이의 핵심 가치입니다.
- Digital Healthcare Forum
- 김재홍
-
소속: 더블유닷에이아이직책: 대표
-
VIEW
-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보의학교실 AI 정보의학연구소
- 김명관
연구 교수
- 강연 제목
- AI 헬스케어 산업 가속화를 위한 의료 데이터 거래와 가치 평가
- 이력 및 약력
-
경북대학교 보건학 박사
대한디지털헬스학회 이사
- 소개
- 보건의료정보학에 대한 도메인 지식에 기반한 의료 빅데이터, AI 모델 개발 역량을 보유한 보건의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이자 디지털 헬스케어 및 의료 데이터 가치 평가 전문가
- 강연 요약
- 4차 산업혁명 초거대 AI와 데이터 경제 시대에서 AI 헬스케어 산업 가속화를 위해서는 미래 기술 실현 원료이자, 자산으로서 데이터를 유통 및 거래함으로서 활용성 증강이 필요합니다. 이에 의료 데이터가 필요한 국내 기업들의 데이터 거래 수요, 거래 시 애로사항 및 이러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의료 데이터 가치 평가 그리고 더 나아가서 데이터 경제 시대에 새로운 직업군의 탄생까지 관련 동향을 전합니다.
- Digital Healthcare Forum
- 김명관
-
소속: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보의학교실 AI 정보의학연구소직책: 연구 교수
-
VIEW
- (주)파미노젠
- 김영훈
대표이사
- 강연 제목
- 데이터에서 가치까지: 연구자와 경영진을 위한 AI 신약개발 로드맵
- 이력 및 약력
-
現 ㈜파미노젠 대표, (사)AI 신약설계연구센터 센터장
학력: 숭실대학교 화학과 석·박사
전문분야: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분자모델링, 계산화학
주요 경력:
종근당 종합연구소 수석연구원
크리스탈지노믹스 책임연구원
(사)분자설계연구소 부소장
- 소개
-
30여 년간 신약개발 및 AI·분자모델링 연구 주도
정부·산업체 공동 연구 50여 건 수행
다수의 항암제·대사질환 치료제 후보 발굴 및 임상 진입
AI 기반 신약개발 소프트웨어 LuciNet 개발
국제 저널 논문 및 특허 다수 보유
- 강연 요약
-
인공지능(AI)은 신약개발의 속도와 성공률을 혁신적으로 높이며, 제약·바이오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AI 기반 신약 후보물질이 임상 단계에 진입했고, 미국과 유럽의 빅파마들은 AI 전문기업과 협력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중국과 일본 역시 정부와 민간이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며 경쟁에 합류해, 세계는 지금 AI 신약개발 주도권 경쟁에 돌입했습니다.
글로벌 AI 신약개발 시장 규모는 2030년까지 수십조 원 이상 성장 전망하고 있고 투자트랜드는 빅파마–AI 스타트업 공동연구, 벤처캐피털 대규모 투자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AI와 데이터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경쟁에 본격적으로 합류할 수 있는 전략적 기회를 맞고 있습니다. 정부의 R&D 지원과 민간의 투자 확대가 결합된다면,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도약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번 강연에서는 AI 신약개발의 현주소와 비전, 글로벌 성과, 산업적 기회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AI는 단순한 실험 보조가 아니라 연구·산업 전반을 혁신하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드릴 것 입니다. 이번 강연을 통해 제약산업 종사자 분들과 관계사 분들께서는 “AI 신약개발이 단순한 가능성이 아니라 이미 현실로 다가온 미래”라는 사실을 직접 확인하여 글로벌 경쟁의 흐름 속에서 한국이 나아갈 길을 고민하고, 인공지능이 열어가는 신약개발의 무궁무진한 비전을 공유하는 장이 될 것입니다.
또한 이번 강연에서는 인공지능 신약개발의 비전과 가능성을 균형 있게 살펴보고, 전세계 동향 속에서 한국이 나아가야 할 전략적 위치를 논의하며 또한 데이터·모델링 한계와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짚어내며, AI 신약개발이 단순한 환상이 아닌 지속 가능한 혁신 전략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합니다. 청중들은 이 강연을 통해 글로벌 경쟁의 흐름과 그 속에서 우리가 만들어 갈 미래를 새롭게 바라보게 될 것입니다.
- Digital Healthcare Forum
- 김영훈
-
소속: (주)파미노젠직책: 대표이사
-
VIEW
- 아스테로모프
- 이민형
CEO
- 강연 제목
- Engineering scientific inspiration: How AI drives scientific discovery as an independent architect
- 이력 및 약력
-
- 아스테로모프 대표이사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박사과정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원
- 소개
-
아스테로모프(Asteromorph) Founder&CEO
과학적 초지능(Scientific Superintelligence) 연구 기업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박사과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원 (16세 연구원 입사)
- 강연 요약
-
과학적 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
과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들은 예상치 못한 분야 간 연결에서 탄생 했습니다. 옵토제네틱스는 미생물의 광수용체와 신경조절을 결합하여 신경과학을 혁명화했고, CRISPR-Cas9는 박테리아 면역체계를 유전자 편집 도구로 재해석하여 생명공학의 지평을 확장했습니다.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은 점진적 개선이 아닌 창조적 종합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현재의 AI 시스템들은 인간이 미리 정의한 탐색 공간 내에서만 작동하는 한계를 보입니다. 대형언어모델들은 훈련 데이터의 패턴을 재조합 하는 데 뛰어나지만, 기존 지식의 확률적 재구성에 머물러 진정으로 새로운 개념을 생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Spacer: 의도적 탈맥락화를 통한 혁신
Spacer는 기존 LLM의 창의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정보를 원자 단위인 키워드로 '의도적인 탈맥락화'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하는 과학 발견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정보를 키워드라는 원자 단위로 분해한 후, 이들 사이의 예상치 못한 연결을 탐색하여 기존 맥락을 제거함으로써 새로운 맥락을 창조합니다. 시스템의 핵심인 Nuri 엔진은 18만 편의 생물학 논문으로 구축된 키워드 그래프를 탐색합니다. 각 키워드가 노드가 되고, 공동 출현 빈도와 분야가중 인용 영향력(FWCI)에 의해 결정되는 가중치를 가진 에지로연결됩니다.
다단계 구현 파이프라인
Nuri는 18만 편의 학술 논문 키워드 그래프에서 잠재력 높은 키워드 세트를 발굴하고, Manifesting Pipeline은 이를 정교한 과학적 아이디어로 구체화하여 독창적인 과학 개념을 생성합니다. 이 파이프라인은 세 단계로 구성됩니다. Revealing Framework는 키워드 간의 숨겨진 개념적 연결을 발견하고, Scaffolding Framework는 논리 그래프를 구축하여 구조적 완전성을 보장하며, Assessment
Framework는 제안된 가설의 과학적 타당성과 실현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실제 성과와 검증
실험 결과 Nuri는 영향력 있는 논문을 정확하게 분류했으며(AUROC0.737), Spacer의 최종 출력물은 최신 최고 수준 논문의 핵심 개념을 성공적으로 재구성하고 SOTA LLM보다 인간 연구와 의미론적으로 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과학적 영감의 공학적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구체적 사례로는 간세포암에서 칼슘 진동 복원, ATP 할당 패턴을 통한 세포 상태 전환 예측, 장내 미생물 제어를 위한 후각수용체 과발현 등의 혁신적 개념들을 생성했습니다.
미래 전망: 과학적 초지능을 향한 여정
현재 Spacer는 독창적인 과학적 개념을 도출할 수 있지만 독립적으로 검증하거나 개발할 수는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로봇공학과 자동화된 실험실 기술이 발전하면서 AI가 제안한 가설을 자동으로 검증하는 완전한 과학 발견 사이클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이 대규모로 운영된다면 수십 년이 걸렸을 과학적 발견이 몇 달 안에 일어날 수 있으며, 개인의 직관과 우연에 의존했던 패러다임 전환이 체계적이고 저렴하게 발생할 것입니다. Spacer는 기계가 진정한 독창성을 도출할 수 있다는 중요한 전제를 입증했으며, 한때 추측의 영역에 속했던 과학적 초지능이 이제 기술적 기반으로 뒷받침되는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되었음을 보여줍니다.
- Future Tech Conference
- 이민형
-
소속: 아스테로모프직책: CE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