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FESTA SPEAKERS
-
VIEW
- 한양대학교 에리카 로봇공학과
- 한재권
부교수
- 강연 제목
- AI 휴머노이드 로봇의 글로벌 개발 현황 및 산업화 전망
- 이력 및 약력
- (現) (주)에이로봇 CTO, (前)로보티즈 수석연구원
- 소개
-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개발자
- 강연 요약
-
최근 생성형 AI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로보틱스 분야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이 산업현장에서 다양하고 유용하게 쓰일 가능성이 크게 주목받고 있으며 글로벌 탑티어 기업들의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로 인하여 휴머노이드 로봇의 상용화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AI가 적용된 휴머노이드 로봇의 활용은 인구구조의 변화와 맞물려 다양한 방면에서 산업의 구조를 바꿀 것으로 예상됩니다.
변화는 위기이기도 하지만 기회이기도 합니다.
변화의 방향을 미리 포착한 사람들에게는 기회이고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위기일 것입니다.
머지않은 미래에 펼쳐질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지금까지의 로보틱스의 발전 과정 및 현재 주목받고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을 살펴 보고 우리는 이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우리의 미래를조망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합니다.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generative AI technologies, the field of robotics is developing at an unprecedented pace.
In particular, humanoid robots are drawing significant attention for their potential to be widely and effectively utilized in industrial sites.
The aggressive investments by global top-tier companies in humanoid robots are further raising the possibility of their commercialization.
The application of AI in humanoid robots, coupled with demographic shifts, is expected to transform industrial structures across various sectors.
Change can be both a crisis and an opportunity.
For those who anticipate the direction of change, it will be an opportunity; for those who do not, it will be a crisis.
To forecast the imminent future,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robotics thus far,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oid robot companies currently in the spotlight, and reflect on how we should respond to these changes in order to envision our own future.
- Future Tech Conference
- 한재권
-
소속: 한양대학교 에리카 로봇공학과직책: 부교수
-
VIEW
-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 코리아
- 김창주
차장
- 강연 제목
- AI를 이용한 양자 기반 계측 기술의 진화
- 이력 및 약력
- -
- 소개
-
FoMA 에서 CDMA 단말기 개발 엔지니어로 경력을 시작하여, 이후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에서 Wireless 및 A/D 분야 Application Engineer로 활동하며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기술 지원 경험을 쌓아왔습니다.
이러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2018년부터는 양자 솔루션 컨설턴트로서 활동하며,
산업계와 학계에서 양자컴퓨터/통신/센싱 분양에서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키사이트 테크놀로지는 미국에 본사를 둔 Test & Measurement 기업으
로, 2010년대 후반부터 양자 분야의 테스트 솔루션을 선제적으로 준비
해왔습니다. 이번 강연에서는 초전도 양자컴퓨터에서 큐빗이 동작하
는 원리를 살펴보고, 키사이트 솔루션을 통해 큐빗을 어떻게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지 개발 과정과 사례를 소개합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 AI를 활용한 자동화 방안을 함께 논의합
니다. 마지막으로 해외 주요 연구기관과 기업들의 초전도 양자컴퓨터
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의 최신 양자 테스트 솔
루션을 소개드리겠습니다.
- Quantum Forum 2025
- 김창주
-
소속: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 코리아직책: 차장
-
VIEW
- 에스지에이솔루션즈(주)
- 최영철
대표이사
- 강연 제목
- 국가 망 보안체계(N2SF) 국가•공공기관 대상 시범 실증 사업
- 이력 및 약력
-
[학력]
-성균관대학교 (현)소프트웨어학과 학사/석사/박사(정보보호전공)
[경력]
-前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인증관리팀 연구원(공인인증체계)
-前 (주)비씨큐어 대표이사
-前 국가정보원 MLS(N2SF) TFT 참여위원
-現 에스지에이솔루션즈(주) 대표이사
-現 에스지에이 그룹 부회장
-現 한국정보보호학회 (협력)부회장
-現 국방혁신기술보안협회(KSAEM) 부회장社
-現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 부회장社
-現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A) 내 클라우드보안협의체 의장
-現 한국디지털문서플랫폼협회 회장
-과기정통부 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2.0 주저자 집필진
- 소개
-
최영철 대표는 ‘통합 IT보안 전문기업’ 에스지에이 솔루션즈의 대표이사이자, SGA그룹의 부회장이다.
최영철 대표는 25년간 보안분야에 몸담으며 대한민국 IT보안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
지난 해 12월 발표된 KISA의 ‘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2.0’의 주 집필진이며,
N2SF(국가 망 보안체계) TFT 참여위원으로 활동하며 차세대 보안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있다.
- 강연 요약
- 대한민국 사이버보안 컨퍼런스
- 최영철
-
소속: 에스지에이솔루션즈(주)직책: 대표이사
-
VIEW
- 마이크로소프트
- 이소영
이사
- 강연 제목
- Never Lead Alone: 팀과 커뮤니티가 만드는 리더의 미래
- 이력 및 약력
-
- 現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이사(글로벌 인플루언서팀 Asia regional manager) - 네오위즈홀딩스 세이클럽사업부 사업기획팀 매니저
- 핀란드 헬싱키대학교 MBA 석사
- 소개
-
글로벌 기업의 성장과 쇠퇴, 그리고 회복의 과정을 직접 경험했습니다.
네오위즈를 거쳐 IT업계에 입문한 뒤, 현재는 마이크로소프트 아시아 리전 매니저로 활동하며 전 세계 IT 커뮤니티 리더들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이 강연은 급격한 디지털 전환과 세대 혼합의 환경 속에서, 리더십의 방식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를 다룹니다.
개인의 역량만으로는 더 이상 충분하지 않으며, 팀과 커뮤니티가 함께 성과를 만드는 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1. 공동 리더십: 위계형 리더십의 한계를 넘어, 구성원 간 신뢰와 협력에 기반한 리더십의 중요성
2. 심리적 안전과 실행력: 팀 내 몰입과 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신뢰 기반의 피드백 구조와 실행 툴
3. 세대와 기술의 융합: 디지털·AI 전환과 세대 혼합 환경에서 협업 속도를 높이고, 팀의 강점을 극대화하는 방법
4. 파트너십 문화: 조직 내 연결성을 강화하고 공동의 목표를 만들어내는 커뮤니티 리더십의 가치
참석자들은 강연을 통해 변화하는 시대가 요구하는 리더십 모델, 그리고 조직과 커뮤니티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HR Tech Leaders Day1
- 이소영
-
소속: 마이크로소프트직책: 이사
-
VIEW
- Quandela
- 김유석
한국법인대표
- 강연 제목
- 광양자 양자컴퓨터 동향 및 산업계 적용 방안 QAP(Quantum Acceleration Program)
- 이력 및 약력
-
(현) 한국정보공학기술사회 회장
(현) 시스트란 대표이사
(전) SK네트웍스
(전) 현대오토에버
Carnegie Mellon Univ MBA
- 소개
- 강연 요약
-
프랑스 콴델라(Quandela)는 광자 기반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며,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클라우드 서비스까지 통합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현재 양자컴퓨터는 ‘NISQ 시대’에 있으며, 콴델라는 머신러닝, 최적화, 화학 시뮬레이션 등 실질적 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QAP(Quantum Acceleration Program)를 통해 기업에 컨설팅, 툴킷, 실증 프로젝트, 클라우드 접근성을 제공해 산업 적용을 가속화합니다.
이로써 물류, 신약, 금융,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용 절감과 효율 향상에 기여하는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합니다.
- Quantum Forum 2025
- 김유석
-
소속: Quandela직책: 한국법인대표
-
VIEW
- (주)지큐티코리아
- 곽승환
대표이사
- 강연 제목
- QKD의 대중화 및 초민감도 양자센서 산업화 현황
- 이력 및 약력
-
▪ 현) Genesis Quantum Inc.( 美 ) / GQT Korea 창업자 및 대표이사
▪ 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양자플래그십과제 기획위원
▪ 현) 산업통상자원부 양자전문위원
▪ 전) 대통령 직속 과학기술자문위원회 양자특위 민간위원
▪ 전) ID Quantique S.A.부사장 (Switzerland)
▪ 전) SK Telecom Quantum Tech Lab 설립자 및 랩 리더
- 소개
-
저는 양자기술 불모지였던 우리나라에 2005년부터 6년 간의 설득을 통해 SKT에 퀀텀랩을 만들어 우리나라 양자 산업의 시발점을 만들었습니다.
현재는 소형 저가형 양자암호시스템, 단일광자계측장비, 양자바이오센서등을 산업화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QKD는 양자컴퓨터에 안전한 유일하게 증명된 보안체계입니다.
그러나 현존하는 양자암호장비들은 비싼 가격과 커다란 크기로 대중화를 하기는 어렵습니다.
이 부분을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양자기술을 활용한 초정밀 센서들은 국방, 바이오 등의 분야에 활용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지큐티의 접근 방안에 대해서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Quantum Forum 2025
- 곽승환
-
소속: (주)지큐티코리아직책: 대표이사
-
VIEW
- 대한병원정보보안협회
- 황연수
학술분과장
- 강연 제목
- 2025년 의료환경에서의 정보보안 키워드 10
- 이력 및 약력
-
현) 대한병원정보보안협회 학술분과장
(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보보호 최고책임자, 정보보호팀장
(현)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 미래포럼 위원
(현)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 기술포럼 위원
이학박사 (의료정보학 전공)
공학석사 (컴퓨터공학 전공)
정보시스템감리사, ISMS-P 인증심사원
- 소개
- 강연 요약
-
대한병원정보보안협회는 의료 환경의 최신 보안 이슈를 반영하여 2025년 10대 정보보안 키워드를 선정하였다.
이번 키워드는 회원 공모와 임원 검토를 거쳐 확정되었으며, 의료기관의 보안 정책 수립과 운영 방향에 중요한 나침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내용은 AI 활용 증가에 따른 AI 보안 위협 대응, 환자 주권 강화를 위한 마이데이터 전송요구권,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클라우드 네이티브 보안과 사이버 레질리언스 확보, 경계가 모호해진 환경에서의 무경계 보안 전략과 바일 보안 혁신, 확산되는 IoMT(의료 사물인터넷) 보안 강화, 사전 차단 중심의 예방형 보안관제 시스템, 데이터 활용 확대 속 보건의료 데이터 통합 보호, 그리고 2025년 10월 예정된 Windows 10 지원 종료 대응 등이다.
이들 키워드는 모두 환자 안전과 의료 신뢰성을 지키기 위한 핵심 과제로, 의료기관이 직면한 기술적·법적·운영적 도전 과제를 종합적으로 보여준다.
협회는 앞으로도 최신 보안 트렌드를 제시하고 회원들과 함께 의료 분야의 보안 수준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 대한민국 사이버보안 컨퍼런스
- 황연수
-
소속: 대한병원정보보안협회직책: 학술분과장
-
VIEW
- CJ ENM
- 이현주
팀장
- 강연 제목
- Touch Balance : AI and Human
- 이력 및 약력
-
현) CJ ENM 인사지원실 인재육성팀
전) CJ주식회사 HR실
전) CJ주식회사 인재원
전) CJ CGV 인사담당
전) SK F&U C&I 인력관리팀
(SK Telecom Affiliated Company)
전) (주)대웅 인력개발실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기업교육전공 석사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신문방송학 학사
- 소개
- 다양한 산업의 국내외 HR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으며, 리더십과 조직개발 등을 통해 필요한 조직변화를 촉진합니다.
- 강연 요약
-
AI를 통해 일을 더 빠르고, 정확하고, 스마트하게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회사라는 조직 안에서 성과를 내는 것은 혼자가 아닌 팀이며, 팀을 움직이는 것은 사람입니다.
앞으로의 AI 시대에서 일은 디지털로 효율화하고, 관계와 리더십은 더 인간적으로 깊어져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AI 시대의 HR 경쟁력은 AI(Digital) Efficiency+Human Connection을 얼마나 잘 조합하는가에 달려있지 않을까요?
이 관점을 어떻게 담아내어 실행하고 있는지 공유합니다.
- HR Tech Leaders Day1
- 이현주
-
소속: CJ ENM직책: 팀장
-
VIEW
- 지니언스 ES관리부
- 백은광
책임연구원
- 강연 제목
- 2025년, 우리 조직은 안전한가? – 랜섬웨어 실태와 교훈
- 이력 및 약력
- 지니언스 ES관리부 - 10년
- 소개
- 지니언스에서 위협 분석/ 악성코드 및 취약점 분석을 수행합니다.
- 강연 요약
-
이번 강연은 최신 랜섬웨어의 전반적 현황을 먼저 짚은 뒤, 국내에서 최근 유행한 랜섬웨어의 '복구 가능' 사례를 통해 어떤 약점과 조건에서 복구가 가능했는지를 설명합니다.
이어서 암호화 구현 결함, 키 관리 실수, 운용상의 허점 등 복구 가능성을 뒷받침한 기술적 배경을 해설하고, 랜섬웨어가 APT의 한 전술이라는 점을 전제로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 원인 분석(RCA)의 필수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최근 랜섬웨어 공격 또한 AI를 활용해 변종 생성과 초기 침투용 피싱(맞춤형 프리텍스팅 등)을 정교화하고, '보안 프로그램'의 취약점을 빈번히 악용한다는 점을 다룹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공격을 사전에 완벽히 막을 수 없다는 현실을 인정하고, 노출 최소화, 피해 최소화와 신속 복구(MTTR 단축),재발 방지를 조직의 운영 표준으로 삼을 것을 실천적 결론으로 제시합니다.
- 대한민국 사이버보안 컨퍼런스
- 백은광
-
소속: 지니언스 ES관리부직책: 책임연구원
-
VIEW
- 옥타코
- 이재형
대표
- 강연 제목
- 차세대 공공 보안 아이덴티티 모델
- 이력 및 약력
-
FIDO 얼라이언스 글로벌 개발자대회 심사위원
FIDO 얼라이언스 올해의 회원, 공로상 수상
한국정보보호학회 협력 부회장
- 소개
-
디지털 아이덴티티 분야 가트너 선정 FIDO 보안키 3년 연속 글로벌 대표 벤더 선정
가트너 선정 글로벌 대표 사용자 인증 10대 벤더
- 강연 요약
-
차세대 공공 보안 아이덴티티 모델
1. 배경
• N2SF(국가망 보안체계): 공공기관 업무망을 기밀(C), 민감(S), 공개(O) 등급으로 구분하고 등급별 보안대책을 적용.
• 환경 변화: 클라우드·재택근무·SaaS 확산으로 네트워크 경계가 붕괴, 아이덴티티(ID)가 새로운 보안 경계가 됨.
2. 주요 위협
• 피싱, 비싱, 스피어 피싱, 스미싱, 크리덴셜 스터핑, 워터링 홀, BEC, MITM, SIM 스와핑 등 18개 주요 인증 공격.
• 기존 ID/PW, OTP, SMS, 일반 생체인증은 대부분의 공격에 취약 (방어율 0~11%).
• 세션 하이재킹, 쿠키/토큰 탈취 등 인증 이후 구간도 위협에 노출.
3. 글로벌 동향
• 미국: Executive Order 14028, OMB M-22-09, CISA 가이드라인에 따라 2025년까지 모든 연방기관에 Phishing Resistant MFA(예: FIDO2, PIV) 적용 완료 예정.
• Zero Trust 전략의 핵심: “절대 신뢰하지 말고, 항상 검증하라(Always Verify)”.
4. 결론 및 메시지
• 기존 경계 기반 보안은 더 이상 충분하지 않음.
• N2SF + Zero Trust 환경에서 보안 핵심은 디지털 아이덴티티 관리.
• Phishing Resistant MFA는 ID를 새로운 경계로 보호하는 최적 해법.
- 대한민국 사이버보안 컨퍼런스
- 이재형
-
소속: 옥타코직책: 대표
-
VIEW
- ㈜큐노바
- 김재완
전무
- 강연 제목
- 큐노바 컴퓨팅의 양자 소프트웨어 혁신: 양자 우위
- 이력 및 약력
-
SW 엔지니어링 경력 27년 이상
서울대학교 물리학 학사 (1988)
University of Florida 물리학 박사 (1995)
Amazon 선임 PE 리더
Bloomberg 엔지니어링 매니저
- 소개
- SW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27년간 글로벌 기업에서 혁신을 주도해온 기술 경영 전문가로, AI 및 SaaS 산업의 성장과 함께 큐노바의 핵심 제품 전략을 총괄하고 있음.
- 강연 요약
-
큐노바 컴퓨팅은 산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양자 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개발하는 선도 기업입니다.
특히 큐노바의 알고리즘은 계산화학 분야에서 NISQ 양자 컴퓨터를 활용해 기존 고전적 방법보다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입증되었고,
조합최적화 분야에서도 뛰어난 성능과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큐노바는 기업 및 연구기관들과 다양한 형태의 협업을 통해 이런 알고리즘을 프로덕션 수준의 문제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AI 산업에서도 양자 컴퓨팅의 용도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양자 컴퓨팅이 기존 AI 생태계에서 양질의 데이터 부족이나, 병렬 계산으로 인한 전력 소모 문제를 특화된 성능으로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Quantum Forum 2025
- 김재완
-
소속: ㈜큐노바직책: 전무
-
VIEW
- ㈜퀀텀인텔리전스
- 최근수
수석연구원
- 강연 제목
- 양자머신러닝의 내열 합금 개발 응용: 특성과 성능 비교 분석
- 이력 및 약력
-
• 교육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고체물리 이론) 박사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학사
• 경력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사후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박사후연구원/연구교수
㈜퀀텀인텔리전스 수석연구원
- 소개
-
최근수 박사는 십여 년간 양자역학 기반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원자 스케일에서의 구조 분석과 화학반응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해왔으며, 40여 편 이상의 SCI급 국제학술논문을 출판하는 탁월한 연구 성과를 달성하였다.
그동안 축적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화학 및 재료과학 분야에 양자컴퓨팅을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기존 계산 방법론과 고성능 슈퍼컴퓨터의 한계를 극복하고 양자우위를 실현할 수 있는 신소재, 촉매, 신약 개발과 같은 구체적인 응용 분야를 발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 강연 요약
-
항공용 엔진에 사용되는 초내열합금(superalloy)에서 γ/γ' 두상 미세구조는 고온에서의 기계적 강도와 크리프 저항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γ/γ' 단일상 형성 여부의 정확한 예측은 합금 설계의 성패를 좌우한다.
기존 고전 기계학습 모델들이 원소 간 복잡한 상호작용과 다차원 조성공간에서의 비선형 관계를 완전히 포착하는 데 한계를 보이는 반면,
양자기계학습은 중첩(superposition)과 얽힘(entanglement)을 통해 복잡한 패턴을 효율적으로 학습하여 합금 조성의 미묘한 변화가 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양자기계학습의 실용적 성능 검증을 위하여 Co 기반 초내열합금에서 γ/γ' 단일상 형성 여부를 판별하는 문제에 양자서포트벡터머신(Quantum Support Vector Machine, QSVM)을 적용하였다.
양자 특성맵(feature map), 하이퍼파라미터, 특성 개수를 체계적으로 조절하여,
기존 연구에서 최고 성능을 보인 고전 기계학습 모델인 그래디언트 부스팅 분류기(Gradient Boosting Classifier, GBC)와 동등하거나 우세한 분류 성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재료 과학 분야에서 양자기계학습의 조건부 양자이득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으며,
문제 특화적으로 설계된 양자 회로가 복잡한 다원소 상호작용과 제한된 데이터 환경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양자기계학습의 이론적 강점이 실제 재료 과학 문제에서 실현 가능함을 보여주어,
향후 양자하드웨어 발전과 함께 더욱 광범위한 응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 Quantum Forum 2025
- 최근수
-
소속: ㈜퀀텀인텔리전스직책: 수석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