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FESTA SPEAKERS
-
VIEW
- LG CNS
- 임은영
AI클라우드 사업부 AI센터 GenAI사업담당
- 강연 제목
- 기업의 에이전틱 AI 도입 전력
- 이력 및 약력
-
- 2025년 7월~ 현재, LG CNS AI센터 Generative AI 사업담당
- 2023년 7월~ 2025년 6월, LG CNS AI센터 Generative AI 사업단장
- 2019년~ 2023년 6월, LG CNS AI/RPA사업팀장
: 2000년 12월, LG CNS 입사
- 소개
- LG CNS AI클라우드 사업부 AI센터 GenAI사업담당 임은영입니다.
- 강연 요약
-
AI는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에이전틱AI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은 개별적인 도입을 넘어 전사적 관점에서 에이전틱AI 생태계 전반을 연계하고 통제할 수 있는 전략적 운영 체계를 갖춰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합니다.
LG CNS의 AX Foundry Platform ‘AgenticWorks’는 다양한 환경과 통합이 가능한 유연한 구조와 에이전트 개발부터 운영까지 AI-Full lifecycle을 아우르는 기능성, 누구나 만들고 활용할 수 있는 실무 중심 확장성을 모두 갖춘 엔터프라이즈형 에이전틱AI 플랫폼입니다.
- Future Tech Conference
- 임은영
-
소속: LG CNS직책: AI클라우드 사업부 AI센터 GenAI사업담당
-
VIEW
- 주식회사 포티투마루
- 김동환
대표이사
- 강연 제목
- Agentic AI 시대 공공 AX 혁신
- 이력 및 약력
-
(현) 주식회사 포티투마루 대표이사
(전) SK Communications 검색사업본부 본부장
(전) 엠파스 검색개발실장
- 소개
-
• 국가AI위원회 기술·혁신 전문위원 (대통령직속)
•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공공AI 전문위원 (대통령직속)
•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기후테크 전문위원 (대통령직속)
• National AI Research Lab 멤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AI 안전연구소(AI Safety Institute) 컨소시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 AX 전문위원 (중소벤처기업부)
• AI미래포럼 공동 의장 (과실연)
• 초거대AI추진협의회 부회장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
• AI휴먼소사이어티 이사장•공동회장
- 강연 요약
-
AlphaGo부터 ChatGPT, Agentic AI를 넘어 Physical AI까지.
생성형 인공지능의 최신 글로벌 트렌드를 톺아 보고,
초거대 AI가 다양한 전문 도메인에서 어떻게 융합되고 활용되는지,
산업 AX, 공공 AX의 발전 방향을 짚어 본다.
특히, 범정부 초거대 인공지능(LLM) 공통기반 플랫폼,
미래국방가교 AI 군수통합정보시스템,
방산 특화 AI 설계 지원 솔루션,
대국민 심리케어 상담사 보조 Agent,
부산형 공공행정 생성형 AI 융합 서비스 등
공공 AX 사례 중심으로 Best Practice를 공유한다.
- Future Tech Conference
- 김동환
-
소속: 주식회사 포티투마루직책: 대표이사
-
VIEW
- 세라젬
- 이경수
대표이사 사장
- 강연 제목
- 미래의 건강한 집 : 건강한 삶은 집에서 시작된다
- 이력 및 약력
-
03년 세라젬 입사
09년 1월 ~ 16년 3월 해외영업기획, 영업전략,영업기획 팀장
16년 4월 영업지원본부장
17년 2월 중국법인 영업본부장
18년 5월 전략기획본부장
21년 5월 세라젬 전략사업 대표 / 세라젬 C&S 법인 대표
21년 12월 세라젬 대표이사 사장 취임
21년 4월 대한민국 마케팅 대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22년 12월 ‘59회 무역의날’ 해외시장 개척/수출활성화 대통령 표창
23년 11월 ‘제 25회 대한민국 디자인대상’ 국무총리 표창
- 소개
-
세라젬 이경수 대표이사 사장은 2004년 신입사원으로 입사해 마케팅, 영업, 전략기획 등 다양한 부서에서 두루 역임하였으며,
2018년부터 세라젬 국내 사업을 총괄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데 기여했다.
‘좋은 삶의 시작’이라는 기업 슬로건 아래 가치창조 경영, 고객중심경영, 디자인혁신 등을 바탕으로 완전히 새로운 제품과 조직문화, 시스템등을 대거 도입하며 경영혁신을 이뤄냈다.
그 결과 이경수 대표가 이끈 전략사업부문(국내 신규 비즈니스)매출이 2018년 208억에서 2021년 4964억원으로 2386% 기록적인 성장세를 이뤘으며 2021년 12월 대표이사로 취임하였다.
- 강연 요약
-
미래의 집은 인류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올까?
세라젬이 꿈꾸는 'HOME’은 단순한 거주 공간이 아니라, 건강한 삶이 시작되고 가족 모두가 맞춤형 웰니스케어를 누리는 초개인화 공간이다.
세라젬은 의료기기 기술을 기반으로 한 대표 제품, 척추 관리 의료가전을 통해 홈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었다.
이어 2024년부터는 코어·운동·휴식·뷰티·순환·에너지·정신의 7대 웰니스 영역을 정의하고, 각 영역에서 혁신적인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세라젬의 모든 제품은 DNA, 뇌파·맥파 기반 멘탈 데이터, 체성분, 혈압, 혈당 등 바이오 데이터를 측정하며,
이를 세라체크(CeraCheck) 시스템을 통해 건강 습관 관리와 연결한다.
또한, IoT 기반 설계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개인에게 최적화된 경험을 누릴 수 있다.
가족이 함께 살아가는 집에서, 나만의 라이프로그 데이터와 세라젬의 혁신적인 제품들이 결합해 만들어내는 경험.
그것은 나를 건강하게 하고, 우리 가족 모두에게 활력을 불어넣는 AI 웰니스 케어 홈, 이것이 세라젬이 준비하는 새로운 미래의 집이다.
- Future Tech Conference
- 이경수
-
소속: 세라젬직책: 대표이사 사장
-
VIEW
- 주식회사 뷰노
- 정문정
사업실장
- 강연 제목
- 의료 AI, 시장과 경쟁에 대한 제언
- 이력 및 약력
-
前 주식회사 뷰노 마케팅팀장
前 이우소프트 전략기획실 책임
School of Art Institute of Chicago 학사 졸업
- 소개
- 뷰노에서 시장분석부터 제품 사용화까지 사업의 전 과정을 이끌고 있는 사업실장을 맡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평가유예 제도를 통해 비급여 시장에 먼저 진출한 신의료기술, 뷰노메드 딥카스의 사업화 여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본 강연에서는 딥카스의 개발 배경, 시장 도입 과정, 임상 근거 확보 등 인공지능 의료기기의 사업화를 위한 과제들을 상세히 다루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인공지능 의료기기 시장의 현재 상황과 향후 도전 과제에 대해 함께 전망합니다.
- Digital Healthcare Forum
- 정문정
-
소속: 주식회사 뷰노직책: 사업실장
-
VIEW
- 아모레퍼시픽 디지털전략유닛 디지털기술개발디비전
- 홍성봉
상무 / 디비전장
- 강연 제목
- 뷰티 산업에서의 Vertical AI Agent - 고객경험 및 R&D 혁신
- 이력 및 약력
-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학사/석사 (디지털신호처리전공)
(前) 하나로통신(현 SKBroadband) 연구원
(前) 삼성전자 정보통신총괄 Software Developer
(前) NHN 게임플랫폼개발총괄, 데이터사이언스마케팅랩 / 이사
(前) 스마일게이트 기반기술개발담당 / 이사
(現) 아모레퍼시픽 Chief Digital Technology Officer
- 소개
- 아모레퍼시픽에서 디지털전환과 AI Transformation을 통한 회사의 변화를 이끌고 있으며, 데이터 기반의 기술과 AI의 적극적 활용으로 대외 서비스의 개발, 업무 프로세스의 혁신에 힘쓰고 있다.
- 강연 요약
-
아모레퍼시픽은 회사 전체의 업무 프로세스에서 공격적으로 AI를 도입하고 있고, 일부는 실험 단계를 넘어서서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기도 하다.
아모레퍼시픽 전사적인 AI Transformation을 진행하는 방향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하고, 그 중에서 현재 계속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뷰티 분야의 Vertical AI Agent의 개발 과정과 현재 단계, 그리고 미래의 비전에 대하여 공유하는 자리이다.
- Future Tech Conference
- 홍성봉
-
소속: 아모레퍼시픽 디지털전략유닛 디지털기술개발디비전직책: 상무 / 디비전장
-
VIEW
- 삼성에스디에스 (SAMSUNG SDS)
- 창성중
상무 (C&C 사업팀장)
- 강연 제목
- 'Brity Copilot', AI Agent로 기업의 일하는 방식을 바꾸다
- 이력 및 약력
- 현) 삼성 SDS C&C 사업팀장
- 소개
- 창성중 상무는 현재 삼성SDS C&C사업팀장으로, 기업의 일하는 방식을 연구하고, 생성형AI를 통해 기업 업무를 혁신하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기업의 AI Transformation 을 위한 고려사항과 삼성SDS의 역량을 소개하고,특히 기업 내 Collaboration 과 Communication 영역에서 생성형 AI가 어떻게 일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는지, 삼성SDS의 생성형 AI 서비스, Brity Copilot 혁신 사례를 공유합니다.
- Future Tech Conference
- 창성중
-
소속: 삼성에스디에스 (SAMSUNG SDS)직책: 상무 (C&C 사업팀장)
-
VIEW
- 야놀자클라우드
- 김종윤
대표
- 강연 제목
- Vertical AI & 자동화를 통한 초개인화의 미래
- 이력 및 약력
-
2022-現야놀자클라우드 CEO & 야놀자 그룹 CSO
2019-2022 야놀자클라우드 매니징 디렉터
2015-2021 야놀자 CBO 이력 및 약력
2011-2015 맥킨지&컴퍼니 인게이지먼트 매니저
2007-2009 구글코리아 온라인 세일즈 앤 오 퍼레이션 리더
2003-2005 3M 마케터
- 소개
- 2015년 야놀자 CSO로 합류하여, 2021년부터 별도 법인으로 출범한 야놀자클라우드 CEO를 맡아, 현재 클라우드·AI 솔루션 등 야놀자의 B2B 중점 사업을 이끌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AI는 더이상 특별한 신기술이 아닌 우리 일상 속에 녹아 든 공공재가 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기업들의 성공적인 AI 전환(AX) 및 차별화된 데이터 확보 방안부터 함께 Vertical AI(특화형 AI) 통한 수익화 사례까지,
대한민국 혁신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미래 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향성을 소개한다.
- Future Tech Conference
- 김종윤
-
소속: 야놀자클라우드직책: 대표
-
VIEW
- 현대오토에버
- 지두현
상무
- 강연 제목
- SDV(Software Defined Vehicle)와 자동화 기술 중심으로
- 이력 및 약력
-
2024.07.~현재. 현대오토에버, 통합혁신센터 센터장
2021.11.~2024.06. 쏘카 서비스엔지니어링 본부장, CTO
2015.07.~2021.10. 라이엇게임즈코리아
2010.11.~2015.07. 네이버
- 소개
- 현대오토에버 지두현 센터장은 풍부한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을 통해 조직의 가치를 실현하고 보다 우수한 I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리더입니다.
- 강연 요약
- SDV(Software Defined Vehicle)와 자동화 기술 중심으로
- Future Tech Conference
- 지두현
-
소속: 현대오토에버직책: 상무
-
VIEW
- PwC
- 김정연
파트너
- 강연 제목
- AI in the Physical World - 현실을 움직이는 인공지능의 미래
- 이력 및 약력
- PwC Strategy& 전략 파트너, EY-Parthenon 파트너, Arthur D. Little, Accenture 글로벌 경영 컨설팅 펌 근무, The University of Auckland BCom/BSc Conjoint Degrees
- 소개
- PwC Automotive and Mobility Group Korea Lead, Hyundai Motor Group Client Serving Partner, Emerging Tech, Strategy & Business Design 전문가
- 강연 요약
-
1. New Wave of Physical AI : 우리는 왜 ‘물리적’ AI를 논해야 하는가?
- AI의 현재와 한계
- Physical AI의 등장 배경
2. Physical AI in Reality: Physical AI란 무엇인가?
- Physical AI의 개념 및 핵심 기술
- Physical AI의 현재와 미래 전망
3. Physical AI: 우리의 사업 기회는 어디에 있는가?
4. 결론 : 인간과 로봇이 함께하는 미래
- Future Tech Conference
- 김정연
-
소속: PwC직책: 파트너
-
VIEW
- CMES
- 김현우
CTO
- 강연 제목
- 휴머노이드와 Physical AI, 산업 자동화의 경계를 넘다
- 이력 및 약력
-
前) 전자기술연구원 모빌리티플랫폼 연구원
現) 한양대 ERICA 소프트웨어융합대학 겸임교수
現) CMES CTO
- 소개
-
자율주행 연구를 시작으로 현재 AI 로보틱스 기업에서 기술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과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를 기반으로,
AI를 모빌리티와 로봇 플랫폼에 접목해 실제 산업 현장에서 구현 가능한 Agentic AI를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본 강연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의 현재 수준과 최신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물류 및 제조 현장에 적용할 때 직면하게 되는 한계를 소개합니다.
이어서, 이러한 현장 자동화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CMES만의 연구개발 방향과 비전을 공유합니다.
강연은 다음의 내용을 위주로 다루고자 합니다.
▲휴머노이드 및 물류·제조 현장 로봇 시스템의 현재 수준
▲연구 레벨에서 진행 중인 최신 연구와 사례(Groot, Open VLA 등)
▲CMES의 휴머노이드 기술 현황과 구현 영상
▲산업 현장에서의 실제 수요와 과제
▲기존 방법론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계와 사례
마지막으로 CMES가 보유한 플랫폼, 비전 기술, 시스템 통합 역량을 활용해 산업 현장 자동화를 어떻게 확장하고 해결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합니다.
- Future Tech Conference
- 김현우
-
소속: CMES직책: CTO
-
VIEW
- 마음AI
- 손병희
연구소장
- 강연 제목
- Physical AI가 움직여야 산업이 살아난다
- 이력 및 약력
-
학력 :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공학박사 경력
현) (주)마음AI 연구소장 (2023.03 ~ 현재)
현)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
AX 분과 위원 (중소벤처기업부)
전)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중심대학 교수
- 소개
- 강연 요약
-
지금까지의 인공지능은 텍스트와 이미지 생성에서 큰 혁신을 만들어 왔습니다.
하지만 현실의 산업 현장에서는 여전히 인력 부족, 생산성 정체 같은 문제가 남아 있습니다.
이를 해결할 새로운 해답이 바로 Physical AI입니다.
Physical AI는 단순히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넘어, 실제로 움직이며 사람과 함께 일하는 인공지능을 뜻합니다.
음성을 알아듣고 대화하며, 로봇이나 자율주행 시스템처럼 현장에서 바로 작동하는 기술이 그 핵심입니다.
이 기술이 본격적으로 도입되면 제조업에서 생산성이 높아지고, 서비스 분야에서는 안내와 돌봄을 지원하며,
국방·의료·농업 현장에서도 안전과 효율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반도체, 로봇, AI 인프라를 모두 갖추고 있어 Physical AI를 선도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제 필요한 것은 기술 개발과 함께, 표준화와 인재 양성에 대한 사회적 투자입니다.
결국 움직이는 AI, Physical AI가 우리 산업을 다시 살리고, 미래 성장동력을 만드는 열쇠가 될 것입니다.
- Future Tech Conference
- 손병희
-
소속: 마음AI직책: 연구소장
-
VIEW
- (주)뉴로메카
- 허영진
CTO
- 강연 제목
- AI in Motion: 산업 안전을 만족하는 RFM 풀스택
- 이력 및 약력
-
(주)뉴로메카 CTO, 미래핵심연구부문장, 협
동로봇·휴머노이드·의료로봇 R&D 총괄
KAIST Executive MBA, POSTECH 기계공학과 공학박사
- 소개
- 뉴로메카 CTO로서 로봇 하드웨어·제어·AI를 수직 통합해 산업 현장에서 안전하게 작동하는 Physical AI/RFM 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본 강연은 VLA의 이해–계획–행동 파이프라인을 산업 안전요건을 충족하면서 고정밀 작업까지 확장하는 뉴로메카의 독자 RFM 풀스택 전략을 소개합니다.
RFM은 L4(전략·계획, VLM)–L3(스키마·시퀀스, VLA)–L2(고속 피드백 스킬)–L1(척수반사형 저수준 제어)의 4계층으로 구성되며, VLA의 출력은 스킬 토큰과 궤적으로 분해되어 L2/L1에서 실시간 궤적 보정을 거쳐 실행됩니다.
핵심은 저수준 안전지능과 고정밀 스킬 실행기입니다.
L1에는 Safety filter, 컴플라이언스/힘 제어, 마찰 옵저버를 내장하고 관절·토크·속도·접촉력 제약을 고주기(2–4 kHz)로 감시·보호하여 검증 가능한 안전 (safety-proof)을 확보합니다.
스킬 실행기는 납땜, 파우더 분주, 보행 등 고정밀·복합 작업의 성공률과 부드러움을 높입니다.
그 결과, VLA의 추론 기반 일반화를 유지하면서도 기존에 어려웠던 정밀 궤적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뉴로메카는 완제품 로봇을 넘어 감속기·모터까지 내재화하고, 텔레옵·로그·리플레이·자동 라벨링을 포함한 데이터 VI를 구축해 운영–학습–배포 플라이휠을 형성하고자 합니다.
하드웨어·데이터·제어의 풀스택 통합을 통해 공장·서비스·의료 현장에서 요구하는 신뢰성, 비용 효율, 배포 용이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로드맵을 제시합니다.
- Future Tech Conference
- 허영진
-
소속: (주)뉴로메카직책: CT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