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FESTA SPEAKERS
-
VIEW
-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
- 이종록본부장
- 강연 제목
- 디지털의료제품법 및 규제지원 프로그램 소개
- 이력 및 약력
-
(현)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 규제지원본부장
(전)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연구개발팀장
(전)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원
- 소개
- 강연 요약
-
인공지능(AI)이나 로봇, 가상·증강현실(VR·AR) 기술 등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의료제품 발전과 국민안전을 제고하기 위해 제정한 「디지털의료제품법」이 `25.1.24일부터 시행되었으며, 이와 함께 다양한 규제지원 프로그램도 함께 추진 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디지털의료제품법의 간략한 소개와 첨단 디지털의료제품의 확산을 가속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소개하고자 한다.
- Digital Healthcare Forum
- 이종록
-
소속: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직책: 본부장
-
VIEW
- 주식회사 에스앤에이
- 김호동부장
- 강연 제목
- 일하고 싶은 조직의 3가지 조건
- 이력 및 약력
-
현) 글로벌세아그룹 에스앤에이 HR담당
전) 그린스토어 인사총무실장
전) 신성통상 인사팀
전) LS그룹 엘에스오토모티브 인재개발팀
전) 모베이스썬스타 그룹인사팀
- 소개
-
사람에 대한 관심을 통해 HRer로서 직장생활을 시작했습니다.
녹슬지 않는 HR 시니어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1. 강연 제목
: 일하고 싶은 조직의 3가지 조건
2. 강연 목적
: AI 시대에 기업과 HR은 직원에 대한 더 많은 정보와 효율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좋은 인재를 유치하고 직원들에게 일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는 것에 대한 고민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업종과 규모에서 인사담당자로서 경험하고 고민했던 것들을 토대로, 직원들이 근무하고 싶은 기업과 조직의 환경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직원 개인의 관점을 중심으로, 소기업에서도 있을 법한 Practice를 소재로 삼아 강연 내용을 구성하였습니다.
3. 목차
1) 연사 소개
2) AI 시대와 인사관리
3) 첫번째 조건 - 나의 고유한 의미를 충족시키는 일의 목적
4) 두번째 조건 - 조직 구성원으로서의 명확한 나의 목표
5) 세번째 조건 - 예측가능한 조직 내 인간관계
6) 3가지 조건이 필요한 또 다른 이유
- HR Tech Leaders Day2
- 김호동
-
소속: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직책: 부장
-
VIEW
- 보건복지부 의료정보정책과
- 박지민서기관
- 강연 제목
- AI 기반 디지털헬스케어 혁신 추진
- 이력 및 약력
-
-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법학과 졸업
- 행정고시 59회
-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 보건의료정책과, 국민연금재정과, 건강증진과 등 근무
- 현 첨단의료지원관 의료정보정책과 근무 중
- 소개
-
- 첨단의료지원관 국기획
디지털헬스케어법 및 AI 기반 디지털헬스케어 혁신 전략 등 총괄 기획
- 강연 요약
-
▶ AI는 인구고령화, 의료비 증가, 의료자원 불균형 등 난제 해결과 의료 질을 혁신할 수 있는 핵심적 동인
- 신속·정확한 진단보조, 업무부담 경감, 정밀의료 실현, 예방의료 강화로 의료 서비스 제고 및 국민의료비 절감에 동시 기여 가능
▶ 복지부는 「의료 AI·제약·바이오헬스 강국 실현」을 국정과제에 포함, AI·디지털 전환 및 과감한 미래 투자로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추진
- Digital Healthcare Forum
- 박지민
-
소속: 보건복지부 의료정보정책과직책: 서기관
-
VIEW
- LG전자 조직문화팀
- 최수린책임
- 강연 제목
- 한국 리더 생존 전략, 왜 똑똑한 리더들이 글로벌 팀에서 실패하는가
- 이력 및 약력
- LG전자 13년차
- 소개
-
50여개국 130여개 법인과 함께 일하는 글로벌 조직의 성장을 이끄는 HR파트너
(해외법인설립 및 인사제도 셋업, 주재원, 해외 법인 조직문화 컨설팅 등 Global HR전반 경험)
- 강연 요약
-
한국리더 생존 전략, 왜 똑똑한 리더들이 글로벌 팀에서 실패하는가?
국내에서 뛰어난 성과를 내던 리더들이 글로벌 환경에서는 왜 어려움을 겪을까요?
50개국 130개 법인과의 협업 경험을 통해 발견한 한국 리더들이 자주 빠지는 함정들과 그 해결책을 생생한 사례로 제시합니다.
글로벌 무대에서 실패하는 리더와 성공하는 리더의 결정적 차이점을 분석하고, 한국 리더의 강점을 글로벌 환경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
문화적 차이를 장벽이 아닌 기회로 만드는 구체적인 방법과 업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무 노하우를 공유합니다.
- HR Tech Leaders Day1
- 최수린
-
소속: LG전자 조직문화팀직책: 책임
-
VIEW
- 링글
- 이성파공동 대표 (Co-founder)
- 강연 제목
- 창업자와 HR이 함께 만드는 채용 & 성장 로드맵
- 이력 및 약력
-
2015- 현재 링글 공동 대표
2016-2018 스탠포드 경영대학원 MBA
2011-2014 Fairchild 반도체 설계 엔지니어
2011 KAIST , 전자공학 석사 전액장학금
2009 연세대학교 전자공학 학사 전액장학금
- 소개
-
스탠포드 MBA 과정 중 링글을 공동 창업했습니다.
영어의 장벽을 넘어 더 큰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고자 링글을 이끌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1. +Tech 업에서의 성장 전략
• AI+Tech업의 경쟁력의 핵심: 채용 그리고 조직 정리
• HR이 본질적 경쟁력을 결정하는 시대
2. 핵심인재의 특징
• 핵심인재 3가지 특징과 각 요소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
• (1) 일을 잘하는 사람, (2) 일을 잘하는 조직으로 만들어주는 사람, (3) 회사의 이익 관점에서 결정/움직이는 사람
3. 핵심 인재 채용 & 유지 전략
• 핵심 인재를 유인할 수 있는 방법
• 아닌 인재를 Screening out 할 수 있는 방법
• 핵심 인재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
4. 창업자와 HR의 파트너십
• 창업자가 기대하는 HR
• HR이 Top-down으로 해야 하는 일
• HR이 Bottom-up으로 해야 하는 일
5. 마무리 메시지
- HR Tech Leaders Day1
- 이성파
-
소속: 링글직책: 공동 대표 (Co-founder)
-
VIEW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윤여진자율보호정책과장
- 강연 제목
- 개인정보 영향평가 활성화 및 ISMS-P 인증 내실화를 중심으로
- 이력 및 약력
-
- 이화여대 법학과 졸업 및 서울대대학원 법학과 수료
- 사법고시 48회
- 행정안전부 법무담당관 총괄팀장 등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심사총괄담당관 등
- 소개
- 변호사로 2009년 행정안전부에 입직한 후 2021년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 자리를 옮겨 2023년 12월부터 자율보호정책과장으로 개인정보 관련 평가제, 인증제 도입·운영 및 자율규제를 지원하고 있음
- 강연 요약
-
‘개인정보 보호 예방 체계 구축 방안’
개인정보 영향평가 활성화 및 ISMS-P 인증 내실화를 중심으로 개인정보 유출 등 침해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대표적인 제도인 개인정보 영향평가 제도와 ISMS-P 인증제도를 소개하고, 현행 제도의 한계 및 문제점, 개인정보위원회의 동 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 대한민국 사이버보안 컨퍼런스
- 윤여진
-
소속: 개인정보보호위원회직책: 자율보호정책과장
-
VIEW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고낙준신기술개인정보과장
- 강연 제목
- AI시대 안전한 개인정보 활용을 위한 원칙기반의 규율체계
- 이력 및 약력
-
전) 방송통신위원회 이용자정책총괄과장
인터넷이용자정책과장
통신시장조사과장
지상파방송정책과장
- 소개
- -
- 강연 요약
-
AI시대에 AI 학습을 위한 개인정보의 활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므로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한 정책을 통해 이를 뒷받침 할 필요
그간 개인정보위는 안전한 활용을 위해 원칙기반의 규율체계를 정립하여 왔으며, 이중 크게 3가지 정책에 대해 소개하고자 함
1. 이동형 영상처리기기 안내서: 자율주행 등에 활용되는 이동형 영상처리기기를 통한 촬영 요건, AI 학습 활용 방법, 보호조치 등에 대한 설명
2. 합성데이터 안내서: 원본테이터의 특성을 그대로 재현한 가상의 테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법적 쟁점, 절차 등을 설명
3. 인터넷 망차단 조치 개선 방안: 그간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 설정 또는 다운로드・ 파기할 수 있는 컴퓨터 등에 대해 일률적으로 인터넷망 접속을 차단하였으나, 위험분석 결과에 따라 인터넷망 접속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방안을 설명
- 대한민국 사이버보안 컨퍼런스
- 고낙준
-
소속: 개인정보보호위원회직책: 신기술개인정보과장
-
VIEW
- KAIST
- 윤인수부교수
- 강연 제목
- Atlantis: an Autonomous LLM -Powered Bug Finding and Fixing System
- 이력 및 약력
-
- 2021 ~ 2025: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조교수
- 2025 ~ 현재: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부교수
- 2021 ~ 현재: KAIST 정보보호대학원 겸임교수
- 소개
-
윤인수 교수는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부교수로서 해킹 랩을 이끌며, 시스템 보안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너리 분석, 자동 취약점 분석, 자동 공격 생성 등 핵심 기술에 주력하고 있으며,
그의 연구 결과는 IEEE Security & Privacy, USENIX Security, ACM CCS, NDSS 등 세계 최고 권위의 보안 학회에 다수 발표되었습니다.
2018년에는 USENIX Security와 USENIX OSDI에서 각각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 하였고,
2023년에는 제1회 ICBS에서 보안 기술개 척상을 수상하며 연구 성과를 높이 평가받았습니다.
또한 DARPA AIxCC 대회에서 Team Atlanta와 함께 우승한 바 있습니다.
윤 교수는 학문적 업적뿐 아니라 해킹 전문가로서도 탁월한 역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의 해킹 대회인 DEFCON CTF에서 2015년과 2018년에 두 차례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2020년에는 세계적인 해킹 시연 대회인 Pwn2Own에서 Apple Safari를 성공적으로 해킹해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또한 2023년에는 연구팀과 함께 Google이 주최한 KernelCTF와 v8CTF에서 모두 우승하며, 총 7만 달러의 상금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습니다.
- 강연 요약
-
인공지능(AI)의 발전은 우리의 일상뿐만 아니라 보안의 패러다임에 도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사람이 직접 확인해야 했던 보안 취약점을 이제는 AI가 스스로 찾아내고 수정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이 혁신의 중심에는 팀 아틀란타(Team Atlanta) 가 있습니다.
조지아 공대, 삼성리서치, KAIST, 그리고 POSTECH이 함께 구성한 이팀은 미국 DARPA가 주최한 세계적 규모의 보안 AI 대회 AI CyberChallenge (AIxCC) 에 참가해, 자동화된 버그 탐지 및 수정 시스템 개발에 도전했습니다.
팀 아틀란타가 선보인 시스템은 아틀란티스(Atlantis) 라는 이름을갖고 있습니다.
아틀란티스는 소스코드를 입력받으면 제한된 시간내에 취약점을 탐지하고, 다양한 AI 모델들이 독립적으로 해결책을제시해 최적의 패치를 적용합니다.
그 결과, 아틀란티스는 대회 결승전에서 43개의 취약점을 발견하고, 이 가운데 31개를 성공적으로 수정하며 최종 1위를 차지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팀 아틀란타가 AIxCC에 도전하며 쌓은 경험과 교훈, 아틀란티스의 핵심 아키텍처와 기술적 접근법,
그리고 AI가 보안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또한 팀 아틀란타는 아틀란티스를 오픈소스로 공개하여, 전 세계 연구자와 개발자들이 이 기술을 활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를 통해 AI 기반 보안 연구의 저변을 확대하고, 안전한 디지털 환경 구축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 대한민국 사이버보안 컨퍼런스
- 윤인수
-
소속: KAIST직책: 부교수
-
VIEW
- 인공지능안전연구소
- 김명주소장
- 강연 제목
- AI 안전 생태계
- 이력 및 약력
- 인공지능안전연구소 ( Korea AISI ) 연구소장 서울여자대학교 지능정보호학부 교수 대법원 AI 위원회 위원 한국저작권위원회 부위원장 국제인공지능윤리협회 ( IAAE ) 회장 OECD GPAI ( AI 글로벌 파트너십 ) 전문가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사, 석사, 박사 대표저서 『 AI 는 양심이 없다 」
- 소개
- 지난 30 년 간 서울여자대학교 지능정보보호학부 교수로 재 직하다가 2024 년 11 월에 설립된 AI 안전연구소 ( AISI ) 초대 소장을 맡고 있다. 컴퓨터공학 전공자이면서도 오랫동안 정 보 보안 및 디지털 윤리 운동을 추진해 왔다. 2022 년 「 AI 는 양심이 없다 』 라는 책을 통해 이용자 시민과 개발자, 사 업자 모두를 위한 AI 윤리를 소개했다. 국내 최초로 AI 윤 리 「 Seoul PACT 』 를 개발하여 헌정한 공로로 근정포장을 수상했다. OECD GPAI ( AI 글로벌 파트너십 ) 전문가, 국제 인공지능윤리협회 ( IAAE ) 회장, 한국저작권위원회 부위원 장, 대법원 AI 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 강연 요약
- 인공지능 사회로의 대전환은 현재 진행 중이며 모든 국가는 핵심 신성장 동력 AI 역량을 확보하는데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AI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이 보여 준 뛰어난 글로벌 경쟁력은 기술과 자본이라는 두 개의 마차가 이끌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비가역적인 전환에 의한 지속 가능한 성장을 보장 하기 위해서는 AI 의 감재적 위험들을 완화하기 위한 안전 화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불가피하다. 오히려 ' 안전한 Al' 는 3 위 그룹 ( G 3 ) 국가들 간의 경쟁력 확 보에 새로운 지렛대가 될 수 있다.
- 대한민국 사이버보안 컨퍼런스
- 김명주
-
소속: 인공지능안전연구소직책: 소장
-
VIEW
- 전국정보보호정책협의회
- 김완집회장
- 강연 제목
- 지자체·공공기관 정보보호현황과 협력과제
- 이력 및 약력
-
정보통신기술사, 정보보호 공학박사
전자정부발전유공 근정포장(23), 정보보호유공 대통령표창('09)
정보보호유공 국무총리 표창('11), 국가보안유공 국정원표창('09)
'24. 7. - 현재
:서울시 정보보안과장
'22. 8. - '24. 6.
:서울시 정보통신보안담당관
-'21. 1. - '22 7.
: 서울시 데이터센터 소장
- 소개
- 강연 요약
-
1 전국정보보호정책협의회 설명
전국정보보호정책협의회 설립목적
전국정보보호정정책협의회 주요 추진내용
중앙부처, 산·학계 간 협력내용
운영조직 • 부회장 구성 및 향후 추진계획
2 서울시 AI보안정책
'서울형 제로트러스트 보안체계' 구축 계획
'서울특별시 사이버보안에 관한 조례' 제정
'AI보안관제시스템' 운영 및 고도화 방안
서울시 사이버보안 4대 발전전략
- 대한민국 사이버보안 컨퍼런스
- 김완집
-
소속: 전국정보보호정책협의회직책: 회장
-
VIEW
- 티오리
- 박세준대표
- 강연 제목
- AI에게 해킹을 가르치다: 지속가능한 공격자 관점 보안 전략의 미래
- 이력 및 약력
-
- 2012년 : 카네기멜론대학교 (CMU), 컴퓨터과학, 석사
- 2011년 : 카네기멜론대학교 (CMU), 컴퓨터과학, 학사
주요경력 및 소속
- 2010 ~ 2011 / Lockheed Martin / Researcher
- 2012 ~ 2015 / Kaprica Security / Co-Founder
- 2016 ~ 현재 / Theori / Co-Founder & CEO
기타 수상내역 및 활동
- 국내외 해킹대회 75회 이상 우승 (DEFCON 9회 우승, 5회 준우승 최다 우승 기록 보유)
- 국내외 벤더 및 오픈소스 대상 취약점 다수 제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 (다수)
- 외교부 장관상 수상
- 사이버작전사령부 자문위원
- UPSide Academy 대표멘토
- 소개
-
박세준 대표는 한국과 미국을 무대로 활동하는 세계적인 오펜시브 보안 기업 티오리(Theori)의 공동 창립자이자 대표이다.
그는 보안상의 허점을 공격자의 관점에서 먼저 발견하고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며,
특히 자동화된 취약점 발견 연구 분야에서 깊이 있는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카네기멜론대학교(CMU)에서 컴퓨터과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 경력을 쌓아왔으며,
박세준 대표는 '해커들의 올림픽'이라 불리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해킹 대회 데프콘(DEF CON) CTF에서 9회 우승이라는 전례 없는 대기록을 달성하며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이러한 업적과 공로를 바탕으로 2024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대통령 표창을 비롯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외교부장관상 등을 여러 차례 수상했다. 또한 차세대 보안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인 'Best of the Best(BoB)'의 책임 멘토로도 활동했으며 최근에는 업사이드 아카데미를 통해 후학 양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 강연 요약
-
현대 사이버 보안 환경은 AI로 무장한 공격자와 인간 중심의 방어 체계 간의 비대칭적 전쟁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공격의 속도와 규모가 AI로 인해 기하급수적으로 증폭되면서, 전통적인 방어 패러다임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은 한계에 봉착했습니다.
이러한 비대칭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방어자가 공격자의 사고방식과 도구를 채택하는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합니다.
AI를 활용한 공격자 관점(Offensive Security)의 보안 접근법을 통해 모의 해킹, 제로데이 취약점 발굴, 패치 생성 및 검증 프로세스에 이르는 전체 공격과 방어 라이프사이클을 자동화함으로써, AI가 주도하는 위협의 속도에 대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방어 체계를 구축하는 전략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비전은 단순한 이론이 아닌,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성과로 증명되고 있습니다.
Theori는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주최한 AI 사이버 챌린지(AIxCC)에서 AI 시스템 'RoboDuck'으로 예선 1위를 차지하며,
엘리트 해커의 전문 지식과 AI의 확장성을 결합한 취약점 발굴 및 자동 패치 생성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입증했습니다.
이 기술력은 AI 기반 공격 표면 관리 및 자동 모의해킹 솔루션인 Xint를 통해 상용화되어 '온디맨드 AI 해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발표는 Theori의 실전 경험과 기술적 통찰을 바탕으로, AI에게 해킹을 가르치는 것이 어떻게 미래 보안 생태계의 핵심이 되며,
AI 대 AI의 대결에서 방어자가 승리할 수 있는 현실적인 경로인지 심도 있게 논의합니다.
- 대한민국 사이버보안 컨퍼런스
- 박세준
-
소속: 티오리직책: 대표
-
VIEW
- 카이스트
- 김용대ICT 석좌교수
- 강연 제목
- 과기부 SKT 보고서를 통해 본 국내 대기업 보안
- 이력 및 약력
-
현 카이스트 ICT 석좌교수
현 한국공학한림원 회원
현 IEEE Fellow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석학회원)
현 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현 카이스트 정보보호대학원 겸임교수
현 카이스트 과학치안연구센터 센터장
- 소개
- 강연 요약
-
SKT HSS 해킹 사고에 대한 과기부의 보고서는 국내 대기업의 보안 실태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과기부 SKT 보고서를 분석하고, 국내 대기업의 보안 문제를 진단한 후 해결책에 대해 논의한다.
- 대한민국 사이버보안 컨퍼런스
- 김용대
-
소속: 카이스트직책: ICT 석좌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