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FESTA SPEAKERS
-
VIEW
- 업스테이지
- 최 훈사업개발 총괄 이사
- 강연 제목
- 생성형AI와 Vision 기술을 활용한 기업 업무 혁신
- 이력 및 약력
-
(AI Business Development)
- 현 업스테이지 사업개발 총괄 담당- 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컨설팅실 팀장
- 전 Accenture 디지털 컨설팅 팀장
- 전 IBM IT 컨설팅 팀장
- 소개
- 강연 요약
- 생성형AI와 Vision 기술을 활용한 기업 업무 혁신을 주제로, 실제 산업 적용 사례,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하여 소개하는 세션입니다.
- 초거대 AI Summit 2025
- 최 훈
-
소속: 업스테이지직책: 사업개발 총괄 이사
-
VIEW
- 리벨리온
- 박성현CEO
- 강연 제목
- 국산 NPU로 여는 APAC 소버린AI의 미래
- 이력 및 약력
-
2020 - 現리벨리온 대표이사/CEO
2018 - 2020 모건스탠리 뉴욕 Vice President
2017 - 2018 스페이스엑스 Starlink ASIC Design Engineer
2016 - 2017 삼성 리서치 아메리카 Staff Engineer
2014 - 2016 인텔 랩스 오리건 Senior Research Scientist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 박사(컴퓨터공학)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사(전기전자)
- 소개
-
박성현 대표는 MIT에서 전기컴퓨터공학으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인텔과 스페이스X, 모건스탠리에서 반도체 설계 관련 경력을 쌓았다.
뉴욕 모건스탠리 임원(Vice President)으로 근무하던 중 AI반도체 시장의 가능성을 보고 2020년 한국에 들어와 4인의
공동창업자와 함께 리벨리온을 설립했으며, 한국 대표 AI반도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 강연 요약
- 소버린 AI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해외 기술 의존을 넘어선 독자적 AI 인프라가 필요합니다. 리벨리온은 리벨쿼드(REBEL-Quad)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과 고성능을 동시에 달성하며, 한국을 넘어 APAC 지역이 자체적인 AI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습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국산 NPU의 기술적 성과가 어떻게 아시아·태평양의 소버린 AI 전략을 뒷받침할 수 있는지를 살펴봅니다.
- 초거대 AI Summit 2025
- 박성현
-
소속: 리벨리온직책: CEO
-
VIEW
- 네이버클라우드 Hyperscale AI
- 신지은리더 (이사)
- 강연 제목
- 한국형AI생태계의 현재와 확장 전략
- 이력 및 약력
- 네이버클라우드 Hyperscale AI Planning 리더
- 소개
- 네이버클라우드에서 HyperCLOVA X를 기반으로 CLOVA X, CLOVA Note 등 다양한 AI 서비스를 기획해왔습니다. 일상과 업무에 AI를 자연스럽게 녹여내는 경험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 플랫폼 AI 전략 방향 소개
국민 모두가 '일상과 산업의 현장'에서 AI를 이용할 수 있고
'사람과 사람', '기술과 기회'를 서로 연결하여 더 큰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AI 에이전트 생태계를 만들고 그 안에서 신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여 선순환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 AI 방향성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 초거대 AI Summit 2025
- 신지은
-
소속: 네이버클라우드 Hyperscale AI직책: 리더 (이사)
-
VIEW
- KT 기술혁신부문 AI Future Lab
- 배순민랩장(상무)
- 강연 제목
- K intelligence for EveryOne
- 이력 및 약력
-
• KT AI Future Lab 랩장(2025~ 현재)
•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겸직교수
•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자문위원
•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위원
• KT 상무(2021~ 현재)
• 네이버 클로바AI 리더(2018~2021)
• MIT 석·박사
• KAIST 학사
- 소개
- -
- 강연 요약
-
우리 정부는 2026년 ‘AI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총 10.1조억 원의 예산을 투자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우리 나라는 PC, 인터넷, 모바일 시대 등 변혁의 시기에 가장 잘 적응해 온 국가이며, AI 시대에도 강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충분한 잠재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국민들과 기업들 역시 AI를 적극적으로 일상과 업무에 적극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KT는 ‘K Intelligence Suite’을 통해 국민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고, 국가의 핵심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사회 전반의 지속가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국가 AI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먼저 일상 속 AI 동반자로써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로 “Everyday AI for EveryONE”을 실현하겠습니다.
또한 다양한 산업계의 현실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전문화된 “Vertical AI for Industry”을 제공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공공/산업을 위한 신뢰할 수 있는 AI 기반 생태계(”Trusted AI for Ecosystem”) 구축을 위해 가장 안전한 AI 모델을 국민 모두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누구나 쉽게 접근/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겠습니다.
KT는 앞으로도 이러한 다각도의 AI 확산 노력과 민관협력 기반의 K-intelligence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지속적으로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
- 초거대 AI Summit 2025
- 배순민
-
소속: KT 기술혁신부문 AI Future Lab직책: 랩장(상무)
-
VIEW
- LG AI 연구원
- 최정규그룹장 / 상무
- 강연 제목
- Agentic AI를 통한 산업혁신
- 이력 및 약력
-
-(現) LG AI연구원 AI Agent Group 그룹장
-(現) LG AI 대학원 교수
-(現) 과학기술정책연구원 AGI 예타사업 심사위원
-(現) 정보통신기획평가원 AI Challenge 운영위원
-Google Cloud AI Technical Advisory Council
-IR52 장영실상
-동탑 산업훈장
- 소개
-
-LG의 독자 AI Foundation 모델인 EXAONE 및 AI Agent 서비스인 ChatEXAONE 개발을 리딩
-2025년 정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서 K-EXAONE 컨소시엄 총괄 리딩
- 강연 요약
-
AI를 통한 기술 혁신이 사회와 비즈니스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중요한 전환점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생성형 AI에 이어 Agentic AI를 무기로 새로운 문제들을 해결하고, 창의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글로벌 AI 경쟁에 뛰어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LG EXAONE의 여정과 실제 산업현장에서의 혁신 사례를 소개합니다.
AI 기술이 가져올 혁신적인 변화에 대한 통찰력과 방향성을 얻어 가시길 바랍니다.
- 초거대 AI Summit 2025
- 최정규
-
소속: LG AI 연구원직책: 그룹장 / 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