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FESTA SPEAKERS
-
VIEW
- CMES
- 김현우CTO
- 강연 제목
- 휴머노이드와 Physical AI, 산업 자동화의 경계를 넘다
- 이력 및 약력
-
前) 전자기술연구원 모빌리티플랫폼 연구원
現) 한양대 ERICA 소프트웨어융합대학 겸임교수
現) CMES CTO
- 소개
-
자율주행 연구를 시작으로 현재 AI 로보틱스 기업에서 기술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과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를 기반으로,
AI를 모빌리티와 로봇 플랫폼에 접목해 실제 산업 현장에서 구현 가능한 Agentic AI를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본 강연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의 현재 수준과 최신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물류 및 제조 현장에 적용할 때 직면하게 되는 한계를 소개합니다.
이어서, 이러한 현장 자동화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CMES만의 연구개발 방향과 비전을 공유합니다.
강연은 다음의 내용을 위주로 다루고자 합니다.
▲휴머노이드 및 물류·제조 현장 로봇 시스템의 현재 수준
▲연구 레벨에서 진행 중인 최신 연구와 사례(Groot, Open VLA 등)
▲CMES의 휴머노이드 기술 현황과 구현 영상
▲산업 현장에서의 실제 수요와 과제
▲기존 방법론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계와 사례
마지막으로 CMES가 보유한 플랫폼, 비전 기술, 시스템 통합 역량을 활용해 산업 현장 자동화를 어떻게 확장하고 해결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합니다.
- Future Tech Conference
- 김현우
-
소속: CMES직책: CTO
-
VIEW
- 현대오토에버
- 지두현상무
- 강연 제목
- SDV(Software Defined Vehicle)와 자동화 기술 중심으로
- 이력 및 약력
-
2024.07.~현재. 현대오토에버, 통합혁신센터 센터장
2021.11.~2024.06. 쏘카 서비스엔지니어링 본부장, CTO
2015.07.~2021.10. 라이엇게임즈코리아
2010.11.~2015.07. 네이버
- 소개
- 현대오토에버 지두현 센터장은 풍부한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을 통해 조직의 가치를 실현하고 보다 우수한 I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리더입니다.
- 강연 요약
- SDV(Software Defined Vehicle)와 자동화 기술 중심으로
- Future Tech Conference
- 지두현
-
소속: 현대오토에버직책: 상무
-
VIEW
- 야놀자클라우드
- 김종윤대표
- 강연 제목
- Vertical AI & 자동화를 통한 초개인화의 미래
- 이력 및 약력
-
2022-現야놀자클라우드 CEO & 야놀자 그룹 CSO
2019-2022 야놀자클라우드 매니징 디렉터
2015-2021 야놀자 CBO 이력 및 약력
2011-2015 맥킨지&컴퍼니 인게이지먼트 매니저
2007-2009 구글코리아 온라인 세일즈 앤 오 퍼레이션 리더
2003-2005 3M 마케터
- 소개
- 2015년 야놀자 CSO로 합류하여, 2021년부터 별도 법인으로 출범한 야놀자클라우드 CEO를 맡아, 현재 클라우드·AI 솔루션 등 야놀자의 B2B 중점 사업을 이끌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AI는 더이상 특별한 신기술이 아닌 우리 일상 속에 녹아 든 공공재가 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기업들의 성공적인 AI 전환(AX) 및 차별화된 데이터 확보 방안부터 함께 Vertical AI(특화형 AI) 통한 수익화 사례까지,
대한민국 혁신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미래 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향성을 소개한다.
- Future Tech Conference
- 김종윤
-
소속: 야놀자클라우드직책: 대표
-
VIEW
- 삼성에스디에스 (SAMSUNG SDS)
- 창성중상무 (C&C 사업팀장)
- 강연 제목
- 'Brity Copilot', AI Agent로 기업의 일하는 방식을 바꾸다
- 이력 및 약력
- 현) 삼성 SDS C&C 사업팀장
- 소개
- 창성중 상무는 현재 삼성SDS C&C사업팀장으로, 기업의 일하는 방식을 연구하고, 생성형AI를 통해 기업 업무를 혁신하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기업의 AI Transformation 을 위한 고려사항과 삼성SDS의 역량을 소개하고,특히 기업 내 Collaboration 과 Communication 영역에서 생성형 AI가 어떻게 일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는지, 삼성SDS의 생성형 AI 서비스, Brity Copilot 혁신 사례를 공유합니다.
- Future Tech Conference
- 창성중
-
소속: 삼성에스디에스 (SAMSUNG SDS)직책: 상무 (C&C 사업팀장)
-
VIEW
- 아모레퍼시픽 디지털전략유닛 디지털기술개발디비전
- 홍성봉상무 / 디비전장
- 강연 제목
- 뷰티 산업에서의 Vertical AI Agent - 고객경험 및 R&D 혁신
- 이력 및 약력
-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학사/석사 (디지털신호처리전공)
(前) 하나로통신(현 SKBroadband) 연구원
(前) 삼성전자 정보통신총괄 Software Developer
(前) NHN 게임플랫폼개발총괄, 데이터사이언스마케팅랩 / 이사
(前) 스마일게이트 기반기술개발담당 / 이사
(現) 아모레퍼시픽 Chief Digital Technology Officer
- 소개
- 아모레퍼시픽에서 디지털전환과 AI Transformation을 통한 회사의 변화를 이끌고 있으며, 데이터 기반의 기술과 AI의 적극적 활용으로 대외 서비스의 개발, 업무 프로세스의 혁신에 힘쓰고 있다.
- 강연 요약
-
아모레퍼시픽은 회사 전체의 업무 프로세스에서 공격적으로 AI를 도입하고 있고, 일부는 실험 단계를 넘어서서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기도 하다.
아모레퍼시픽 전사적인 AI Transformation을 진행하는 방향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하고, 그 중에서 현재 계속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뷰티 분야의 Vertical AI Agent의 개발 과정과 현재 단계, 그리고 미래의 비전에 대하여 공유하는 자리이다.
- Future Tech Conference
- 홍성봉
-
소속: 아모레퍼시픽 디지털전략유닛 디지털기술개발디비전직책: 상무 / 디비전장
-
VIEW
- 주식회사 포티투마루
- 김동환대표이사
- 강연 제목
- Agentic AI 시대 공공 AX 혁신
- 이력 및 약력
-
(현) 주식회사 포티투마루 대표이사
(전) SK Communications 검색사업본부 본부장
(전) 엠파스 검색개발실장
- 소개
-
• 국가AI위원회 기술·혁신 전문위원 (대통령직속)
•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공공AI 전문위원 (대통령직속)
•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기후테크 전문위원 (대통령직속)
• National AI Research Lab 멤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AI 안전연구소(AI Safety Institute) 컨소시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 AX 전문위원 (중소벤처기업부)
• AI미래포럼 공동 의장 (과실연)
• 초거대AI추진협의회 부회장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
• AI휴먼소사이어티 이사장•공동회장
- 강연 요약
-
AlphaGo부터 ChatGPT, Agentic AI를 넘어 Physical AI까지.
생성형 인공지능의 최신 글로벌 트렌드를 톺아 보고,
초거대 AI가 다양한 전문 도메인에서 어떻게 융합되고 활용되는지,
산업 AX, 공공 AX의 발전 방향을 짚어 본다.
특히, 범정부 초거대 인공지능(LLM) 공통기반 플랫폼,
미래국방가교 AI 군수통합정보시스템,
방산 특화 AI 설계 지원 솔루션,
대국민 심리케어 상담사 보조 Agent,
부산형 공공행정 생성형 AI 융합 서비스 등
공공 AX 사례 중심으로 Best Practice를 공유한다.
- Future Tech Conference
- 김동환
-
소속: 주식회사 포티투마루직책: 대표이사
-
VIEW
- LG CNS
- 임은영AI클라우드 사업부 AI센터 GenAI사업담당
- 강연 제목
- 기업의 에이전틱 AI 도입 전력
- 이력 및 약력
-
- 2025년 7월~ 현재, LG CNS AI센터 Generative AI 사업담당
- 2023년 7월~ 2025년 6월, LG CNS AI센터 Generative AI 사업단장
- 2019년~ 2023년 6월, LG CNS AI/RPA사업팀장
: 2000년 12월, LG CNS 입사
- 소개
- LG CNS AI클라우드 사업부 AI센터 GenAI사업담당 임은영입니다.
- 강연 요약
-
AI는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에이전틱AI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은 개별적인 도입을 넘어 전사적 관점에서 에이전틱AI 생태계 전반을 연계하고 통제할 수 있는 전략적 운영 체계를 갖춰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합니다.
LG CNS의 AX Foundry Platform ‘AgenticWorks’는 다양한 환경과 통합이 가능한 유연한 구조와 에이전트 개발부터 운영까지 AI-Full lifecycle을 아우르는 기능성, 누구나 만들고 활용할 수 있는 실무 중심 확장성을 모두 갖춘 엔터프라이즈형 에이전틱AI 플랫폼입니다.
- Future Tech Conference
- 임은영
-
소속: LG CNS직책: AI클라우드 사업부 AI센터 GenAI사업담당
-
VIEW
- 포스코DX
- 윤일용AI기술센터장, 상무
- 강연 제목
- 피지컬AI를 통한 제조업 혁신
- 이력 및 약력
-
(현) 포스코DX AI기술센터 센터장(상무)
(현) 포항공과대학교 인공지능대학원 겸직교수
(전) 현대자동차 로봇지능팀 팀장
(학력)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학사, 박사(석박통합과정)
- 소개
-
윤일용 상무는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에서2001년에 학사, 2007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현대자동차에서 GPU 및 딥러닝 기술을 개발하고 서비스로봇을 위한 AI와 SW 기술로 발전시켰다.
현재는 포스코DX에서 제조업을 위한 산업AI 기술 개발을 리딩하고 있다.
- 강연 요약
-
현재 제조 산업은 생산성 향상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를 위한 자율 제조가 핵심 화두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자율 제조 실현을 위해 Physical AI가 갖는 의미와 기존 AI와의 본질적 차이를 살펴봅니다.
이어서 Physical AI 구현을 위해 필수적인 센서 엔지니어링과 가상 환경 기반 엔지니어링의 역할을 실제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마지막으로, 제조업이 지향해야 할 Physical AI의 발전 방향을 제시합니다.
- Future Tech Conference
- 윤일용
-
소속: 포스코DX직책: AI기술센터장, 상무
-
VIEW
- 더존비즈온
- 송호철플랫폼사업부문 대표
- 강연 제목
- AI Agent와 All-In-One 플랫폼이 만드는 지능형 업무 환경의 미래
- 이력 및 약력
-
現 더존비즈온 플랫폼사업부문 대표
現 공공데이터 전략위원회 민간위원
前 대통령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민간위원
前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기술포럼 위원
前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민간위원
前 대통령직속 데이터특별위원회 위원
- 소개
-
더존비즈온 플랫폼사업부문을 이끌고 있으며 기술 기반의 플랫폼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DX를 넘어 AX를 선도하며, ERP 중심의 기업 서비스에서 더 나아가 의료·공공 등 산업 전반에 AI를 접목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강연 요약
-
더존비즈온 All-In-One 업무 플랫폼과 AI Agent의 결합을 통해 지능형 업무 환경을 구현하는 실제 사례를 다룹니다.
생성형 AI와 Agent 기술을 업무 프로세스에 직접 적용함으로써 일하는 방식의 혁신과 생산성 향상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소개하고, 앞으로의 업무 전환(AX) 방향을 제시합니다.
- Future Tech Conference
- 송호철
-
소속: 더존비즈온직책: 플랫폼사업부문 대표
-
VIEW
- (주)파미노젠
- 김영훈대표이사
- 강연 제목
- 데이터에서 가치까지: 연구자와 경영진을 위한 AI 신약개발 로드맵
- 이력 및 약력
-
現 ㈜파미노젠 대표, (사)AI 신약설계연구센터 센터장
학력: 숭실대학교 화학과 석·박사
전문분야: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분자모델링, 계산화학
주요 경력:
종근당 종합연구소 수석연구원
크리스탈지노믹스 책임연구원
(사)분자설계연구소 부소장
- 소개
-
30여 년간 신약개발 및 AI·분자모델링 연구 주도
정부·산업체 공동 연구 50여 건 수행
다수의 항암제·대사질환 치료제 후보 발굴 및 임상 진입
AI 기반 신약개발 소프트웨어 LuciNet 개발
국제 저널 논문 및 특허 다수 보유
- 강연 요약
-
인공지능(AI)은 신약개발의 속도와 성공률을 혁신적으로 높이며, 제약·바이오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AI 기반 신약 후보물질이 임상 단계에 진입했고, 미국과 유럽의 빅파마들은 AI 전문기업과 협력을 통해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중국과 일본 역시 정부와 민간이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며 경쟁에 합류해, 세계는 지금 AI 신약개발 주도권 경쟁에 돌입했습니다.
글로벌 AI 신약개발 시장 규모는 2030년까지 수십조 원 이상 성장 전망하고 있고 투자트랜드는 빅파마–AI 스타트업 공동연구, 벤처캐피털 대규모 투자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AI와 데이터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경쟁에 본격적으로 합류할 수 있는 전략적 기회를 맞고 있습니다. 정부의 R&D 지원과 민간의 투자 확대가 결합된다면,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도약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번 강연에서는 AI 신약개발의 현주소와 비전, 글로벌 성과, 산업적 기회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AI는 단순한 실험 보조가 아니라 연구·산업 전반을 혁신하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드릴 것 입니다. 이번 강연을 통해 제약산업 종사자 분들과 관계사 분들께서는 “AI 신약개발이 단순한 가능성이 아니라 이미 현실로 다가온 미래”라는 사실을 직접 확인하여 글로벌 경쟁의 흐름 속에서 한국이 나아갈 길을 고민하고, 인공지능이 열어가는 신약개발의 무궁무진한 비전을 공유하는 장이 될 것입니다.
또한 이번 강연에서는 인공지능 신약개발의 비전과 가능성을 균형 있게 살펴보고, 전세계 동향 속에서 한국이 나아가야 할 전략적 위치를 논의하며 또한 데이터·모델링 한계와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짚어내며, AI 신약개발이 단순한 환상이 아닌 지속 가능한 혁신 전략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합니다. 청중들은 이 강연을 통해 글로벌 경쟁의 흐름과 그 속에서 우리가 만들어 갈 미래를 새롭게 바라보게 될 것입니다.
- Digital Healthcare Forum
- 김영훈
-
소속: (주)파미노젠직책: 대표이사
-
VIEW
-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보의학교실 AI 정보의학연구소
- 김명관연구 교수
- 강연 제목
- AI 헬스케어 산업 가속화를 위한 의료 데이터 거래와 가치 평가
- 이력 및 약력
-
경북대학교 보건학 박사
대한디지털헬스학회 이사
- 소개
- 보건의료정보학에 대한 도메인 지식에 기반한 의료 빅데이터, AI 모델 개발 역량을 보유한 보건의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이자 디지털 헬스케어 및 의료 데이터 가치 평가 전문가
- 강연 요약
- 4차 산업혁명 초거대 AI와 데이터 경제 시대에서 AI 헬스케어 산업 가속화를 위해서는 미래 기술 실현 원료이자, 자산으로서 데이터를 유통 및 거래함으로서 활용성 증강이 필요합니다. 이에 의료 데이터가 필요한 국내 기업들의 데이터 거래 수요, 거래 시 애로사항 및 이러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의료 데이터 가치 평가 그리고 더 나아가서 데이터 경제 시대에 새로운 직업군의 탄생까지 관련 동향을 전합니다.
- Digital Healthcare Forum
- 김명관
-
소속: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보의학교실 AI 정보의학연구소직책: 연구 교수
-
VIEW
- 더블유닷에이아이
- 김재홍대표
- 강연 제목
- 의료영상 (X-ray, 초음파) 기반 인공 유방 보형물 진단 AI 솔루션 개발
- 이력 및 약력
- 현, 더더블유의원 & 더블유닷에이아이 대표
- 소개
- 의료영상 (X-ray, 초음파) 기반 인공 유방 보형물 진단 AI 솔루션 개발
- 강연 요약
-
당사 더블유닷에이아이는 초음파와 X-ray 이미지를 이용하여 여성암 1위 유방암검진과 전세계 여성성형 수술 1위인 가슴 성형수술 시장이교차하는 유방보형물 검진이라는 “미충족 수요’가 발생하는 Vertical Market을 개척하고 있는 세계 최초 유방보형물 관련 AI 솔루션 “W Expert” 개발 업체입니다.
먼저, 초음파 이미지 기반 AI 솔루션인 “W Expert” 를 국내 다기관 임상시험하여 95% 정확도 검증을 통해 식약처 허가를 앞두고 있고, 동시에 유방검진 Screening test로 널리 쓰이는 Mammogram 이미지를 이용한 파열 진단AI 솔루션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자사 유방보형물 타입 구별 및 부작용진단 AI 솔루션 “W Expert” 는 130만장이상의 전세계 주요 보형물 초음파 이미지 Dataset이 학습데이터로 사용되고, 이를 통해 파열과 구형구축 같은재수술이 필요한 중대한 부작용 탐지 알고리듬들이 탑재되었습니다.
자사 솔루션 ‘W Expert’의 진정한 가치는 95%가 넘는 정확도 뿐만아니라, 부작용 유무에 따라 진료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Triage기능,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적절한 치료방법을 제시하고, 분석결과를 출력하는 기능,필요 시 관련 전문의와 협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실제임상현장에서 필요로 하고 있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또한 보형물 파열 위험 예측도도 제공하며 RWEaaS (Real-World Evidence as a Service) AI 솔루션으로 진단 AI가 갖춰야 할 서비스 뿐만아니라 자사만의 특별한서비스가 결합되어 국.내외 시장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W Expert’ 는 단순히 진단 알고리듬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의사와 환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가치“ 기반의 기술로써, 이는 ㈜더블유닷에이아이의 핵심 가치입니다.
- Digital Healthcare Forum
- 김재홍
-
소속: 더블유닷에이아이직책: 대표